가끔 투표하는 유권자 모두 투표땐
해리스 4.84%p, 트럼프 5.75%p 올라
0.91%p로 경합주 판세 좌우 할수도
![]() |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오른쪽)과 NBC방송의 인기 코미디 프로그램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에 그녀 역할을 하는 희극인 마야 루돌프가 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SNL에 출연해 파안대소 퍼포먼스를 연출하고 있다. /AP 연합 |
WSJ은 10월 말 실시한 여론조사를 분석해 이같이 전하고, 이에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캠프는 투표에 참여할지를 아직 결정하지 않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알렸다.
전체 유권자 중 가끔 투표하는 유권자들은 4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고 선거 전략가들을 추정하는데, 그들 중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한 유권자는 3%에 불과하다고 WSJ은 전했다. 이에 따라 이들을 투표장으로 많이 끌어내는 후보 캠프가 1%포인트 안팎에서 승부가 갈리는 경합주에서 승리하게 된다고 분석할 수 있다.
2016년·2020년 대선과 2018년·2022년 중간선거에서 투표한 유권자는 전체의 49%인데, 이들의 50%가 해리스 후보를 지지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는 46%에 머물렀다. 4%포인트 차이인데 이를 2020년 대선 투표율 66.7%에 대입하면 2024년 대선에서 해리스 후보가 2.94%포인트 앞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매번 투표하지 않는 유권자의 지지율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두 자릿수로 앞선다.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는 투표했지만, 두 번의 중간선거에는 불참한 전체의 11%인 유권자의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율은 53%로 39%의 해리스 부통령에 14%포인트 앞섰다. 두 번의 대선 중 한 번만 투표한 유권자 29%의 지지율에서는 51%의 트럼프 전 대통령이 41%를 얻은 해리스 부통령에 10%포인트 앞섰다.
이를 다시 2020년 대선 투표율에 대입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각각 1.4%포인트, 4.35% 앞설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반면 해리스 부통령은 투표 의욕이 낮은 전체 유권자의 11%를 차지하는 26세 미만 청년층에서 56%의 지지율로 35%의 트럼프 전 대통령에 19%포인트나 앞섰다. 이는 올해 대선에서 1.9%포인트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수치다.
결국 가끔 투표하는 유권자들이 이번 대선에 모두 투표한다고 가정하면 해리스 부통령은 4.84%포인트의 득표율을, 트럼프 전 대통령은 5.75%포인트를 각각 추가할 수 있다. 그 격차가 0.91%포인트에 불과하지만, 초박빙의 경합주 선거 판세를 좌우하기에 충분한 수치다.
![]() |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노스캐롤라이나주 선거 유세 무대 위에서 춤을 추고 있다. /로이터 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