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폴란드, K2전차·K9자주포·FA-50경공격기 등 한국산 무기 대거 도입(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727010016476

글자크기

닫기

이석종 기자

승인 : 2022. 07. 27. 18:04

현대로템 K2 전차 980대
한화디펜스 K9 자주포 648문
KAI FA-50 경공격기 48대
NATO 회원국에 10조원대 사상최대 방산수출
clip20220727172913
마리우슈 부아쉬착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장관이 27일 바르샤바 폴란드 국방부 청사에서 K2 전차와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등 한국산 무기체계 도입을 승인하는 총괄합의서에 서명하고 있다./폴란드 국방부 트위터 갈무리
아시아투데이 바르샤바(폴란드) 국방부 공동취재단·이석종 국방전문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한 경(輕)공격기 FA-50 등 한국산 무기체계의 폴란드 대량 수출이 확정됐다. 국산 군용기가 유럽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K2전차와 K9자주포를 포함하면 수출액만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 정부는 27일(현지시간) "FA-50 경공격기 개량형 48대를 비롯해 K2 전차 980대와 K9 자주포 648대 기본계약(Framework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마리우슈 부아쉬착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장관은 이날 체결식에서 "폴란드의 우크라이나 지원으로 인해 지상·공중 전력의 공백을 채워야 했는데 기술·가격·도입시기 등을 고려했을때 한국의 무기체계가 가장 적합했다"며 "K9 자주포의 경우 기술을 인정받고 있어 빠른 도입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체결식은 안현호 KAI 사장,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 등 국내 방산기업 대표와 부아쉬착 국방부 장관, 야로스와프 미카 폴란드군 총사령관, 아르투르 쿱텔 군비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바르샤바 폴란드 국방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서는 폴란드 국방부 맞은편에 러시아대사관이 위치해 있어 러시아에 경고메세지를 낸 것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이 대표는 한국 기업 대표 연설을 통해 "이번 계약은 현대로템 입장에서도 매우 큰 의미"라며 "우리나라와 동일한 무기체계를 사용하면서 양국간에 유대관계가 더 깊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기술이전과 현지생산을 통해 경제전반에 걸쳐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최대 규모의 FA-50을 수출한 KAI는 내년 상반기부터 FA-50 12대 납품하고 이후 항공정비(MRO)센터를 현지에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유럽의 대부분의 국가는 대부분 옛 소련제 미그-29 전투기나 이탈리아 M-346 공격기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부품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가동률이 50% 미만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유럽의 경전투기시장이 200여 대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다면 폴란드의 MRO센터는 주변 유럽국가들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AI는 조종사 양성을 위한 국제비행학교도 폴란드에 세울 예정이다. 동유럽국가에는 조종사 양성교육기관이 없어 대부분의 조종사가 미국으로 보내졌다. 폴란드 측도 국제비행학교가 만들어지면 미국의 F-16 조종사와 호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아쉬착 장관은 "FA-50은 가볍고 F-16을 기반으로 하는 다목적 무기로 우리가 잘 적응할 준비가 돼 있다"며 "F-16을 운행해본 조종사는 FA-50으로 연습하는 데 몇 시간이면 되고 FA-50은 기술 효율성이 85%에 이른다"고 말했다.

유럽에선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경공격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졌다. KAI는 폴란드수출을 계기로 유럽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기점으로 오는 2024~2025년에는 미국 시장에도 도전장을 낼 예정이다. 280여 대 규모인 미 공군 전술훈련기 사업과 220대 도입 예정인 미 해군 고등훈련기·전술훈련기 사업이 주공략 대상이다.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등에도 수출이 사실상 성사됐거나 성사 직전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 사장은 "유럽은 미국만큼 중요한 시장으로, 유럽 수주를 바탕으로 국산 항공기 수출 1000대 목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폴란드는 K2 전차 180대도 올해부터 인도받을 예정이다. 이후 기술이전을 통해 800대 이상의 K2 전차(K2PL·K2의 폴란드 수출형 모델)를 폴란드 현지에서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또 K9 자주포도 48대 구입한 뒤 이후 600대 이상을 주문할 예정이다.
이석종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