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EC 디지털 혁신기금은 회원국간의 인터넷 경제 협력을 촉진하고 디지털 경제 분야 개발도상국 회원국의 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의 APEC 하우스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우리는 작년 ‘APEC 인터넷, 디지털경제 로드맵’에 합의했고, 한국은 의장국이 제안한 로드맵 이행 메커니즘을 지지한다”며 “로드맵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APEC 디지털혁신기금’ 창설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각국 경제주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개도국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기금 창설과 운영에 건설적으로 기여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은 “우리의 협력과 노력이 디지털의 미래를 포용적 성장으로 이끌 것”이라며 “국가 간 디지털 격차를 줄여 공동번영으로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은 전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며 “디지털화의 진전이 사회적 격차를 더 심화시킨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국정부가 추구하는 포용은 포용적 성장, 포용적 사회, 포용적 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배제하지 않는 포용’”이라며 “국민 모두가 함께 잘 살고 공정한 기회와 정의로운 결과가 보장되며 성별·지역·계층·연령에 상관없이 국민 단 한 사람도 차별받지 않는 포용”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런 포용성은 국가 간의 관계에서도 중요하다”며 “APEC 회원국 간 격차를 줄이고, 공정한 기회와 호혜적 협력을 보장할 때 우리는 함께 잘살고,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포용성의 증진은 APEC 회원국들의 공통 과제”라며 “‘APEC 미래비전(APEC Post-2020 Vision)’에도 ‘회원국 모두가 함께 잘사는 공동체’라는 포용의 개념이 핵심적인 가치로 반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디지털 시대에 ‘배제하지 않는 포용’은 더욱 중요하다”며 “디지털 격차가 경제적 격차와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기에 나는 특별히 중소기업·교육·소비자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혁신 역량을 키워야 한다”며 “아태지역 기업의 9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역량 강화는 지역 내 포용적 성장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며 “한국은 개도국 취약계층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2006년부터 APEC 이러닝(e-learning)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고, 이달 말에는 필리핀과 공동으로 APEC 미래교육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