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한미 양국, 다양한 방안 긴밀히 협의"
|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지난 12일 틸러슨 장관의 발언은 북한이 도발과 위협을 중단하고 대화에 복귀해야 한다는 미측의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변인은 또 “한·미 양국은 그 동안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여러 계기에 북한의 대화 복귀를 촉구해 왔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온 바 있다”고 했다.
틸러슨 장관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공동주최한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준비가 된다면 미국은 아무런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협상을 시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앞서 이날 ‘11시 50분, 청와대입니다’ 라이브 방송에서도 “틸러슨 장관이 두 가지 중요한 발언을 했다”며 틸러슨 장관의 기조연설 발언과 “미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무력에 의지하게 된다면 내 실패다”라는 미 국무부 종무식 발언을 소개했다. 박 대변인은 특히 “조금 더 좋은 신호로 볼 수 있는 것은 유엔 사무차장이 북한에 다녀왔고, 북한도 사무차장의 방북을 허용했다”며 “방북 이후 북한에서 낸 성명을 보면 역시 긍정적으로 읽힐 수 있는 요소의 발언들이 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 결과를 면밀하게 국제사회가 분석하고 평가한 이후에, 바로 어떤 흐름들이 바뀌고 있는지를 틸러슨의 말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오늘까지는 너무 저희가 기대를 크게 한다거나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