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마트는 내년 1월1일까지 ‘크리스마스 홈파티’를 콘셉트로 피코크 상품 23종을 최대 50%가량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
연말 파티 분위기에 제격인 마리아쥬 와인 레드·화이트는 각 2만4800원에서 40% 할인한 1만5000원에 판매하며, 무알콜 칵테일 음료 377바 민트·시트러스는 각 1280원에서 55% 할인한 580원에 준비했다.
또한 이마트는 연말을 맞아 이탈리아에서 직소싱한 피코크 피자 4종(시금치·마르게리타·크림치즈·가지)을 출시해 각 5980원에 선보인다.
할인뿐 아니라 연인을 위한 명란 라비올리, 혼밥족을 위한 족발 라자냐 레피시 등을 매장에 비치하고 요리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매장과 온라인에도 게시한다.
음식과 함께 분위기를 돋울 연말 인테리어 소품도 25일까지 최대 7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PE트리·그라데이션트리를 정상가 대비 최대 60% 할인한 9900~5만9900원에 판매하며, 크리스마스 LED전구는 최대 30% 저렴한 9900~2만원에 준비했다.
ROY워터글러브·미니트리장식세트·베이직루돌프머리띠 등 다양한 크리스마스 소품도 정상가 대비 최대 7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홈플러스는 24일까지 크리스마스 막바지 준비를 위한 먹거리와 용품을 마련해 ‘크리스마스 홈파티 기획전’을 연다.
먹거리 대표 상품으로는 케이크 기획상품 ‘북극곰의 파티타임(조기품절 가능·제휴할인 제외)’ 9900원, ‘농협 안심한우 전등급 등심’ 및 ‘미국산 소고기 전품목’을 신한·KB국민·삼성카드로 결제하면 30% 할인해준다. 또한 ‘한 번도 얼리지 않은 훈제연어·횟감용 연어뱃살(노르웨이산·팩)’는 훼밀리카드 회원 할인가로 각 2690원·1만6110원, ‘프리미엄 애플망고(페루산)’ 특대 6990원, ‘셰프초밥(동김해점 제외)’ 개당 490원, ‘카누 미니크리스마스 블렌드 아메리카노(100T)’ 2만900원, 1.5L 대용량 와인인 ‘리빙스톤 콩코드·모스카토·샹그리아(미국산·종류별)’는 9900원이다.
이 외에도 크리스마스 용품으로는 와인잔·샴페인잔(각 2P·종류별)을 종류에 관계없이 2세트 구매 시 9900원, 컬러 양식기 세트(8P) 9900원, 코렐 저스트화이트 2인 양식기 세트(5P) 2만9900원, 코코도르 윈터에디션 디퓨저는 5990원에 준비했다.
|
대표적인 품목으로, 엘 포인트(L.POINT)회원에 한해 ‘미국산 척 아이롤(100g·냉장)’을 1350원에, ‘미국산 찜갈비(100g·냉장)’과 ‘호주산 찜갈비(100g·냉장)’를 각 1530원과 1740원에 판매한다.
또한 해산물도 다양하게 준비해 ‘生 훈제연어(400g·노르웨이산)’를 1만7900원에, 베트남산 ‘블랙 타이거(10마리·해동)’를 9000원에 판매하며, 엘 포인트(L.POINT)회원에 한해 항공직송으로 들여오는 ‘미국산 랍스터(1마리)’를 1만3900원에 선보인다.
이밖에 지금이 가장 맛있는 ‘국내산 한판 딸기(800g·1박스)’를 9900원에, ‘체리(450g·칠레산)’를 8900원에 판매한다.
구매와 동시에 바로 취식이 가능한 크리스마스 기획 즉석 식품도 선보인다.
하루 한번 갓 구워내 일 한정으로 판매하는 ‘로스트 치킨(1마리·조리전 900g 내외·국내산)’을 6900원에 판매한다. ‘로스트 치킨’은 특정시간인 오후 4시에 오븐 조리를 통해 점포당 하루 30마리를 한정 생산·판매한다.
또한 크리스마스를 맞이해 롤과 초밥, 새우튀김까지 담아 가성비가 좋은 ‘롤초밥 파티팩(24入)’을 1만2900원에 선보인다.
한편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인 27일 이마트의 서울 점포는 모두 문을 닫고, 경기지역 점포 중에선 덕이·도농·별내·성남·안성·안양·양주·양주·여주·오산·일산·진접·파주운정·파주·평촌·포천·풍산·하남·화정 등은 문을 연다.
홈플러스 역시 대부분 서울지점이 문을 닫고 포천(포천송우), 오산(오산), 남양주(남양주진접), 하남(하남), 김포(김포, 풍무), 안양(안양, 평촌), 파주(파주문산), 고양(일산, 고양터미널, 킨텍스) 등 12개 점포가 운영된다.
롯데마트는 서울 행당역점이 서울지점으로 유일하게 문을 열고, 경기도 김포점, 일산지역(화정·고양·주엽·킨텍스점) 지점이 운영돼 불편을 덜어준다.
대형마트의 휴무일은 영업점별로 다르기 때문에 각 권역별로 검색해 ‘우리동네 지점’의 휴무일을 알아두면 괜한 헛걸음을 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