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년만에 공동파업에 나선 현대자동차·현대중공업 노조는 20일 전국플랜트건설노조·금속노조 울산지부 등과 공동으로 울산시 남구 태화강 둔치에서 ‘울산노동자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이날 현대중공업 노조는 임금·단체협상 관련 부분파업도 진행했다. 이번 부분파업으로 현대중공업 울산지역 사업장(특수선사업부 제외)은 생산 차질을 빚기도 했다.
문제는 이런 노사관계 악화가 산업계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가 11년 만에 파업에 나섰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두고 노사간 대립각을 진 금융노조는 총파업을 결의했다. 공공운수노조 또한 정부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과 민영화를 중단하지 않으면 전면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에는 보건의료노조 등도 동참한다. 오는 22일에는 현대차와 기아차·현대제철 노조의 총파업 투쟁대회도 예정돼 있어 이러한 동시다발적 노동계 총파업이 위기에 처한 국내 경제 경쟁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대차는 노조가 하루 총 4시간 파업시 400억원 이상(자동차 2000대분) 손실액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하고, 1987년 설립된 노조의 파업으로 발생한 생산차질액(매출차질액)을 14조2000억여원으로 집계했다. 또한 파업 장기화로 생산이 중단되면 협력사의 일감이 끊기는 등 개별기업 차원의 생산차질을 넘어서 국내 산업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청년실업률이 10.3%를 기록한 상황에서 현대차 노조가 5년 연속 파업에 나서자 강하게 비판했다. 협력사들도 모기업 노조의 파업 자제를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현대·기아차협력사협의회는 근무환경이나 임금·복지면에서 원청에 비해 협력사 직원들이 더욱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지적하고, 노조의 파업은 협력사의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만큼 파업철회와 노사 대화를 통한 원활한 교섭 타결을 요청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원청업체가 파업에 들어가면 함께 생산라인을 멈춰야 하는 다수의 하청기업 근로자에게 피해가 발생하므로, 대기업 정규직 노조는 파업을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 또한 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릴레이 총파업에 대해 “불법 총파업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경제위기 극복에 동참해야 한다”며 “7월 노동계 총파업은 정부정책 폐기와 구조조정 저지·반 기업정서 확산을 염두에 둔 명백한 불법파업”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