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2017년까지 각각 1조4000억원, 5조원 증액
|
과거와 달리 해외건설시장의 발주 형태는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저유가로 인해 국가재정이 악화된 산유국은 물론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은 인프라 개발의 필요성에도 부족한 재정에 시달리고 있다. 결국 이들 나라의 발주처들은 단순 도급이 아닌 시공사가 금융기관을 끌어들여와 개발비 일부를 책임지는 투자개발형 사업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금력을 내세운 각국의 수주 경쟁도 거세지고 있다. 결국 정부차원의 외교적 지원은 물론 정책금융기관의 도움이 절실해진 셈이다.
철도건설 수주와 관련해 동남아를 방문했던 한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국내 철도기술과 운영 노하우는 우수한 편이지만 대규모 공사비를 끼고 오는 중국업체와 경쟁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동남아를 다녀오면서 정부의 외교적 지원과 국책은행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꼈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정책금융기관의 지원을 독려하고 있다. 정책금융기관의 활약으로 해외수주에 성공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GS건설의 오만 가스플랜트 건설공사 수주가 대표적 사례다. GS건설은 작년 12월 오만에서 리와 플라스틱 복합 산업단지(LPIC) 프로젝트의 3번 패키지인 천연가스액(NGL) 추출 플랜트를 일본 미쓰이 물산과 공동 수주해 계약을 체결했다. 오만 국영 정유 및 석유화학회사(ORPIC)가 발주한 6억9953만달러(약 8241억원) 규모의 이번 공사에서 GS건설은 주관사로 설계·구매·시공(EPC) 계약 전체를 수행한다.
처음부터 오만 국영 정유 및 석유화학회사(ORPIC)는 셀계·구매·시공(EPC) 계약자에게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위한 공적 수출 신용기관의 금융 주선을 주문했다. 결국 수출입은행이 3억7000만달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금융을 제공하면서 GS건설의 수주는 성공리에 끝났다. 당시 GS건설 측도 “수은과 무역보험공사의 지원을 받아 최종 계약자로 선정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성공 사례에 힘입어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는 해외건설 지원을 위해 2017년까지 각각 1조4000억원, 5조원을 증액한다. 또 한국투자공사는 20억 달러 규모의 자본투자 전용펀드 조성은 물론 △국토부 지원 타당성 조사를 통해 검증된 사업 △다자간개발은행(MDB)의 공동 진출 사업 △순방 외교 등을 통해 발굴된 사업 등을 중심으로 투자에 나선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도 김경환 1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 수주지원단을 지난 15~22일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국토부는 비록 현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정책금융기관과 협업 효과가 결국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과 어느 때보다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며 “범정부 차원의 이런 노력과 건설업체들의 자구 노력까지 더해진다면 해외건설의 돌파구는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