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5%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과 10월, 올 3월과 6월에 각 0.25%포인트씩 총 1%포인트 인하된 후 5개월째 연 1.5%에 머물고 있다.
이번 금리동결은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국내경제는 최근 내수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소비심리 개선·정부의 소비활성화 정책 등이 효과를 봤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 따르면 10월 승용차 내수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7% 증가하고, 백화점 매출액도 17.4% 늘어나는 등 소비가 눈에 띄게 확대됐다.
‘고공행진’하는 가계부채와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도 추가 인하를 막는 걸림돌로 작용했다.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부채는 한 달새 9조원이나 늘면서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누적 잔액만 625조원에 이른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나타날 수 있는 국제경제 불확실성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은은 미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해외자본 유출 위험은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경우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경제 기초여건이 양호하며 금융부문 외환건전성이 상당히 양호하다”며 일각에서 우려하는 국내 금융시장 충격은 적을 것으로 밝혔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년 상반기까지 동결할 확률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경제 파급력이 크지 않고 오히려 기준금리 인상시 부작용이 크다는 설명이다.
이정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인상은 점진적으로 단행될 것이기 때문에 한·미 금리수준이 비슷해지는 내년 하반기에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3분기 성장률이 조금 좋아졌다고 하지만 4분기가 어떻게 될지 모르고 물가도 여전히 0%대인데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물가가 더 낮아질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