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정부가 이통사들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 인터넷TV(IPTV) 등의 결합상품에 손을 보겠다고 밝히면서 부터다. 이럴 경우 이통3사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할인효과가 사라지면서 이통사의 수익지표를 나타내는 ARPU에 영향을 줄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또 통신단말기 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후 통신사의 보조금 규모가 공시되고 할인규모가 한정되면서, 결합상품에 의존한 사용자 확보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를 육성해 결합상품으로 활용하겠다는 이통3사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해석이다.
25일 방송통신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이용자정책총괄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조사과, 통신시장조사과 등과 결합상품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편법으로 진행하는 결합상품을 조사한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로 지원되고 있는 결합상품의 기준을 정하고 규제수준을 논의한다고 덧붙였다.
방통위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당사자인 이통3사의 속내는 복잡하다. 현재 이통사는 IPTV나 초고속 인터넷 등을 통신상품과 결합해 이용할 경우 현금 지원은 물론 고가요금제 사용자에게는 무료 수준으로 제공하는 등 요금제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2010년부터 ARPU는 꾸준히 증가추세다. 미래창조과학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기준 SK텔레콤의 ARPU는 4만374원에서 지난 2분기까지 4만3978원으로 9% 증가했다. KT는 3만3720원에서 3만6821원으로 9%증가, LG유플러스는 2만5641원에서 3만5500원으로 38%가량 증가했다.
이통사의 ARPU 증가는 스마트폰 본격도입 이후 IPTV등을 통한 데이터 중심의 고가요금제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정부의 결합상품 제재조치는 이통사가 동영상 서비스 등 옵션으로 제공하는 고가요금제 상품 구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해석이다.
한편 케이블 업계 등 이통사의 결합상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업체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특히 방송 콘텐츠 제공 업계는 이통사의 결합상품이 보조금의 또 다른 표현이라며 적절수준의 제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결합상품이 콘텐츠 생태계를 교란시킨 측면이 있다”라며 “업체간 서비스 품질로 경쟁하는 체재가 구축돼야 기술발전 등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