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廣東)성의 유력지 난팡두스바오(南方都市報)의 23일 보도에 따르면 이 조사를 진행한 곳은 시난차이징(西南財經)대학의 중국가정금융조사 및 연구센터. 최근 조사 결과를 ‘2014년 중국 재부보고‘라는 보고서로 발간하고 중국의 빈부격차가 대단히 심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그러나 전 인구의 90%가 전체 국부의 고작 36.1%만 보유한다는 사실은 확실히 정상적이라고 하기 어렵다. 더구나 현실이 조사보다는 더 나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까지 더하면 상황은 보다 심각해진다. 실제로 일부 비관적인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상위 부자 10%가 전체 국부의 90%를 차지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이는 하루 1 달러 이하의 최저 생계비로 살아가는 빈민들이 최대 1억 명에 이르는 데도 돈을 물쓰듯 하는 이른바 극소수 후이진쭈(揮金族)들의 재산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의 부호들에 결코 뒤지지 않는 현실만 봐도 억지 주장이라고 하기 어렵다.
심각한 빈부격차는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온갖 불법과 탈법적인 방법으로 부자가 되는 케이스가 많은 중국 같은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해야 한다. 아차 잘못하다가는 체제까지 휘청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중국 당국이 현재의 빈부격차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고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