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 공장 멈춰야 산다”…현대·기아차, ‘포스트 코로나’ 생존 전략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528010016167

글자크기

닫기

최원영 기자 | 김병훈 기자

승인 : 2020. 05. 29. 06:00

글로벌 공장 전면 재가동했지만…수요 없어 국내는 휴업해야 생존
전 계열사에 자금 확보 지시하고…판매망 정상화까지 재고관리 나서
Print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세계 각국의 지침에 강제 셧다운 됐던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거점들이 이번주 전면 재가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정작 움츠러든 수요가 살아나질 못하면서 회사는 멀쩡한 국내 공장을 줄줄이 멈춰 세우고 재고 관리에 나서야 할 판이다. 못 돌리는 공장은 없지만 안 돌려야 살 수 있어서다.

업계에선 코로나19로 인한 폭풍이 이제 본격화됐다는 반응이다. 위축된 시장에서 최대한 버텨내고 차기 먹거리를 준비해야 하는 생존 전략에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업계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각종 정부 지원을 최대한 끌어내고 미래차 주도권 선점에는 빠른 파트너십 체결이 골자다.

28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이번 주 기아차 멕시코 공장 가동을 끝으로 전 세계 공장은 전면 재가동에 돌입했지만, 반면 현대차 울산 3·4공장과 기아차 소하리 1·2공장, 광주 2·3공장은 생산라인을 멈췄거나 멈추기로 했다. 코나와 벨로스터 등을 생산하는 울산 1공장도 휴업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주요 나라에 봉쇄령이 내려지고 영업점도 문을 닫으면서 수출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판매망이 정상화될 때까지 지속적인 재고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현대차의 4월 해외 판매량은 29만7540대로 전년 동기 대비 -70.4%, 미국 판매량은 3만4774대로 39% 줄었고 기아차 역시 해외판매는 8만3855대로 같은 기간 -54.9%, 미국 판매는 3만1705대로 38.3% 쪼그라들었다. 현대·기아차의 국내 수출 기지가 멈춰 선 배경이다.
현대차그룹의 생존 전략은 단기적으론 유동성 확보와 재고 관리다.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자금 확보에 나설 것을 지시한 상태로, 불확실성에 최대한 대비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론 위기 이후의 먹거리 확보에 집중한다. 수소차는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정부와 하루가 멀다 하고 전략을 내놓으며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 전기차는 삼성·SK·LG 등 국내 대표 배터리업체들을 비롯해 주요 부품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사태의 엄중함을 인식한 정부는 이날도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나서 고사 직전의 자동차부품 산업에 5000억원 규모 상생 특별보증을 신설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국내 자동차 산업은 직간접 고용인원만 51만명에 달하고 제조업 전체 생산액의 12%, 전체 수출액의 13%를 맡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과 각국 정부의 행보도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테슬라와 르노가 100%, 도요타(95%), 벤츠(92.3%), BMW(90.9%) 등이 거의 모든 공장을 다시 돌리기 시작했지만 더는 셧다운이 문제가 아니다. 차가 팔리지 않으면서 직면한 재무 위기를 넘겨야 해서다.

프랑스 정부는 자국의 자동차산업 회복을 위해 전기차 중심으로 80억 유로(약 10조9300억원)에 달하는 구제금융을 지원키로 했다. 이탈리아 최대은행인 인테사 산파올로 은행도 피아트크라이슬러(FCA)에 69억달러(8조5600억원) 규모 정부 보증 대출을 승인했고 FCA는 11억 유로 규모 배당금 지급 계획을 철회했다. 재규어랜드로버(JLR)도 10억 파운드(1조5200억원) 대출 지원을 영국 정부에 요청했고 고정비를 줄이기 위해 3만8000명의 영국 내 고용인력 중 1만8000명을 정리해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이항구 산업연구원 박사는 “엄청난 고용이 이뤄지고 있는 자동차산업 위기가 곧 국가 위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 정부도 소홀히 할 수 없을 것”이라며 “기업들도 당장 돈이 많이 들어가는 자율주행 등의 투자는 최대한 미루며 재무 안정성을 챙길 것”이라고 했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먹거리인 차세대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는 정부와 기업이 보폭을 맞춰 가속화 할 것으로 봤다. 이 박사는 “당장 중국 보조금 정책 수혜에 따른 전기차, 환경 문제 해결책으로 떠오르는 수소차 등으로의 전환은 오히려 더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원영 기자
김병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