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고용센터, ‘취업지원 기능 강화·AI일자리 매칭’ 대대적 개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81227010016833

글자크기

닫기

박은희 기자

승인 : 2018. 12. 27. 11:00

노동부, 고용센터 혁신방안 발표…고용서비스 편의성·만족도 제고 등 품질 높인다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매칭 서비스 모델. / 제공=고용노동부

취업지원 기능 강화·인공지능 기반 일자리매칭 서비스 제공 등 고용센터가 출범 20주년을 맞아 일자리 정책 핵심 전달체계로서의 기능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고용노동부는 고용센터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취업지원 기능이 약화되고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는 지적을 바탕으로 국민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 한걸음 더 다가가기 위한 ‘고용센터 혁신방안’을 27일 발표했다.

◇ 고용센터 취업지원 기능 강화


먼저 재취업 지원보다 급여지급에 집중돼 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구직활동 의무를 개편한다. 수급 초기에는 의무 구직활동을 축소하는 대신 자기 주도적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상담을 실시하고 은퇴한 고령 수급자의 현실적 애로사항도 고려했다.
 
취업의사가 높은 수급자와 장기수급자 등에 대해 집중 재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업급여·직업훈련·취업지원을 담당자 1명이 통합 제공하는 '취업중심 패키지센터'를 내년 4월부터 10월까지 시범 운영(10개소)할 계획이다.

취업성공패키지의 취업지원서비스도 강화한다. 지역별·대상별 특성을 고려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취업장애요인 해소를 위한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매월30만원씩 3개월 동안 지급하는 저소득층(중위소득 30∼60%) 대상 구직촉진수당을 신설하고 취업역량이 우수한 조건부수급자를 집중 지원한다. 청년 등 참여자를 양질의 일자리로 적극 연계하기 위해 취업처 임금수준과 고용유지율 평가기준도 대폭 강화한다.

기업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별·기업체별 사업장 정보와 기업별 구직자 특성, 고용장려금 지원내역 등 각종 기업정보를 축적한 데이터베이스인 기업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업정보시스템에 축적된 정보를 분석해 일자리매칭·맞춤형 고용장려금 지원 등 기업 상황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양질의 구인기업은 고용센터 일자리 발굴 전담부서를 1대 1로 연결해 집중 관리한다.

◇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고용서비스 제공

워크넷·HRD-net·고용보험시스템 등 일자리 관련 각종 사이트의 대국민 서비스 기능을 일자리포털(온라인 고용센터)로 통합한다. 이를 통해 일자리포털만 접속하면 온라인으로 구인·구직, 직업훈련, 고용보험 등 모든 일자리 정보를 한 곳에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매칭 서비스를 이날 오픈한다. 빅데이터로 축적된 개인의 경력, 교육·훈련, 자격정보 등을 통해 인공지능이 구직자에게 최적의 일자리를 추천하게 된다. 노동부는 이 서비스를 통해 구직자에게 알맞은 기업을 탐색하기 위한 시간은 줄고 상담사는 일자리 매칭보다 심층상담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했다.

◇ 고용서비스 편의성·만족도 제고

불필요한 정보 기입, 복잡한 양식 등으로 불편이 제기된 민원서식(총 55종)은 현장직원 공모를 통해 간소화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지급신청서(취업지원금·채용유지지원금) 2개를 1개로 통합하고 출산전후(유·사산)휴가 확인서는 '근로자 서명란'을 삭제해 서명때문에 사업장을 방문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다음달에는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챗봇(Chatbot) 서비스를 시행한다. 온라인 메신저에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일자리 정책·정보와 관련한 질문에 응답하는 시스템이다. 

글로벌기업(인텔·아마존 등)에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사용자경험 혁신을 고용센터 혁신에도 도입한다. 고용센터를 방문하는 국민이 서비스 경험과정에서 느끼는 불편사항, 개선의견을 분석해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즉시 개선 가능해진다.

◇ 양질의 고용서비스 위한 기반 조성

민간위탁기관의 서비스 품질 상향평준화를 지원한다. 고용서비스 품질인증제를 도입해 표준 인증기준을 달성한 민간위탁기관에 한해 사업 참여를 허용하고 성과평가 결과 우수 민간위탁기관은 다년계약(3년 이내)을 허용한다. 사업별 민간위탁기관 및 겸업 현황 등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고용정보전산망 기능 개선도 추진한다.
박은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