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감염병관리정보시스템을 7억5000만원을 투입해 구축, 5월부터 운영에 들어간다고 25일 밝혔다.
경기도 감염병관리정보시스템은 2015년 메르스 발생 당시 민간의료기관과 정부, 지자체 등 관련 기관들의 소통 부재와 투명한 정보 공개 부족으로 국민의 불안감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감염병관리정보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3가지로 △위기대응 화상회의 △감염병관리 담당자간 협력 채널 △감염병 정보 공개 기능 등이다.
먼저 위기대응 화상회의 기능은 환자와의 접근이 불가능한 감염병의 특성을 고려한 소통 프로그램이다. 감염병 발생 등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나 현장에 있는 사람이 경기도에 신고를 하면 시스템이 가동된다.
경기도와 감염병관리지원단은 관련 전문가와 질병관리 담당자에게 문자로 상황발생을 알리게 되며, 영상장비가 장착된 PC 또는 모바일 기기로 접속해 화상회의가 가능해진다. 1개 장비 당 90명의 접속이 가능하며 경기도는 2개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최대 180명까지 집단 회의에 참가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영상으로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각 기관 간 환자 현황, 치료시설 현황 등을 공유하며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메르스 발생 당시 경기도의 특성상 관련자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 정보 공유나 대책회의 개최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언제 어디서든 영상통화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만 있으면 회의가 가능해 위기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감염병관리정보시스템 운영은 분당서울대병원에 위치한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에서 운영하며, 감염병관리 담당자간 협력 채널은 일종의 업무용 메신저와 게시판 기능을 합친 것으로 역학조사 요청이나 결과 공유 등 민간의료기관과 감염병관리 담당자간 소통 창구역할을 하게 된다.
감염병정보 공개 기능은 감염병 발생 상황과 대처 방법 등을 국민에게 알리는 것으로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 홈페이지(www.gidcc.or.kr)에 마련됐다.
이재율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경기도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민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위기를 빠르게 극복한 좋은 선례를 갖고 있다”며 “이번 감염병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민관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