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컨슈머리서치가 LF, 세정, 신원, 제일모직, 코오롱 FnC 등 주요 의류업체 5곳에서 온라인 판매 중인 24개 브랜드 40개 남·여성복을 대상으로 호칭과 실제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 남성복은 KS규격에 맞게 사이즈가 통일됐으나 여성복의 경우 편차가 컸다.
이번 조사는 디자인 특성에 따른 변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기본 스타일의 셔츠(블라우스)·바지·스커트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이즈 표기 방식을 보면 제일모직 빈폴, LF 헤지스, 세정 올리비아로렌·앤섬은 블라우스나 스커트의 크기를 KS규격대로 가슴둘레 ‘90’ 또는 허리둘레 ‘67’로 표시했다.
반면 제일모직 구호, 신원 베스띠벨리·SI·비키는 ‘55’로 표기했다. ‘55’ 표기 방식은 1981년 당시 20대 여성의 평균 신장(키 155cm) 등을 기준으로 만든 것으로, 현재 ‘KS의류치수규격’에 해당하지 않는 표기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관행으로 아직 ‘44·55·66’ 등을 계속 쓰고 있다.
코오롱FnC 커스텀멜로우·럭키슈에뜨 등은 ‘36(S)’, 수입품 LF 질스튜어트는 ‘00S’ 등의 표기법을 사용했다. 기본적으로 KS규격의 하나인 ‘S-M-L-XL’을 따른 것이지만, 다소 생소하게 변형된 호칭이다.
이처럼 사이즈 표기 방식이 제각각일 뿐 아니라, 같은 표기의 사이즈라도 치수 차이가 컸다.
같은 업체의 다른 브랜드 베스티벨리, SI의 ‘55’ 셔츠 가슴둘레는 각각 86cm, 108cm로 22cm나 차이가 났다. ‘90’ 호칭 제품들끼리 비교해도 4~5cm 정도의 편차가 있었다.
스커트 역시 셔츠처럼 호칭이 브랜드별로 각기 달랐고 제품 간 사이즈도 8.2cm가량 차이 났다. 신원 베스띠벨리 제품이 68cm로 가장 작고 제일모직 구호제품이 76.2cm로 가장 컸다. LF 여성의류에는 아예 ‘실측 사이즈’가 표기되지 않아 사이즈를 가늠하기 어려웠다고 컨슈머리서치는 주장했다.
이에 비해 남성 옷들은 대부분 ‘KS의류치수규격’에 맞춰 ‘가슴둘레 100’, ‘허리둘레 82’ 등 신체 치수 기준의 표기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의류업체 관계자는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콘셉트와 매년 유행하는 스타일이 달라 같은 사이즈라 하더라도 다를 수 있다”면서 “KS규격 대신 44/55/66 사이즈를 사용하는 이유는 줄곧 사용해왔던 표기이고, 디자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복의 특성상 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대표는 “온라인 의류 구매가 크게 늘고 있지만, 브랜드마다 사이즈 표기 방식이 달라 반품 민원도 같이 급증하는 추세”라며 “업체는 되도록 KS규격을 사용하고, 실측 치수도 정확히 표시해야 불필요한 소비자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