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경협, 美日 경제단체와 ‘맞손’…글로벌 경제협력 구심점 역할

한경협, 美日 경제단체와 ‘맞손’…글로벌 경제협력 구심점 역할

기사승인 2024. 06. 27. 15:4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3국 비즈니스 대화 정례화…‘경제외교 가교’ 위상 회복 움직임
한경협 새사진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왼쪽부터), 찰스 프리먼 미국상공회의소 부회장, 이치로 하라 일본 경단련 상무가 26일 미국상공회의에서 3개 단체 간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있다./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한미일 글로벌 경제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단순히 국내 재계를 대표하는 단체를 넘어 글로벌 시장의 '경제외교 가교'로서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한경협은 미국상공회의소, 일본 게이단렌(經團連·경제단체연합회)와 지난 26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제1차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같은날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산업장관회의와 연계해 마련됐다. 이미 한경협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발맞춰 경제사절단을 꾸려 민간 경제외교 기능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다.

한미일 경제단체 대표들은 이번 회의에서 3국 정부 인사들과 함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민간 경제계 협의체의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또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연 1회 이상 정례화하고, 3국 정상 또는 정부 간 회의와 연계해 개최하기로 했다.

한미일 경제단체는 정보기술(IT) 혁신, 디지털 경제 및 제조업, 에너지,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 지속적 정보 교환과 무역·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을 이어가기로 했다. 3국의 공통 경제 이슈와 관련해서는 국제무대에서 함께 목소리를 낸다는 데도 공감대를 모았다.

한경협은 이번 협의체 출범이 지난해 8월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도출된 '3국 간 포괄적 협력을 위한 합의'를 계승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에 이은 토론에는 삼성전자와 SK, 현대차, 포스코, 한화 등 8개 한국 기업이 참여했다. 미국에서는 인텔, 퀄컴, 아마존, 구글 등 10개 기업이, 일본에서는 도요타, 소니 등 8개 기업이 참여했다.

이들 기업은 '한미일 경제협력 현황 및 회복 탄력적 성장방안'을 주제로 무역 및 첨단산업, 에너지와 분쟁 광물 등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산업·경제 분야 3각 협력이 문서로 제도화됐다는 점에서 경제계는 더욱 안정적인 3국 경제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