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결제 확인해 주세요”… 해외직구족 노린 스미싱 피해 급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529010015006

글자크기

닫기

박주연 기자

승인 : 2024. 05. 28. 18:02

지난해 스미싱 문자 50만 3300건
공공기관 사칭 69.5% 가장 많아
개인정보 유출·제품 안전 논란
"낯선 인터넷 주소 클릭 주의해야"
"[**카드]3**1카드 고객님. 해외 일시불 76만8580원 처리 완료. 신고문의 1800-9***. 방금 수신한 문자 메시지는 해외에서 발송됐습니다."

서울 강남구에 사는 직장인 정모씨(31)는 최근 이 같은 문자 메시지를 받고 깜짝 놀랐다. 정씨는 최근 해외 직구로 80만원 가까이 되는 물건을 구매한 적이 없는데 결제됐다는 연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씨는 문자 메시지에 적혀있는 문의 전화번호를 눌러 확인하려던 찰나 옆에 있던 직장 상사가 신종 스미싱 수법임을 알려줬다.

정씨는 이후에도 관세청으로부터 연체세금 92만원이 연체됐다는 등 국외발신으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하루 1번꼴로 받고 있다. 정씨는 "해외 직구를 몇 번 이용한 이후로 스미싱 문자를 거의 매일 받고 있는데, 내 번호가 이미 유출된 것 같다"며 "공공기관에서 온 문자 메시지는 링크를 누를 뻔했는데 메시지 받는 것 자체가 너무 불안하다"고 말했다.

최근 해외직구를 통해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던 소비자들이 크게 늘면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스미싱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KISA에 포착된 스미싱 문자는 총 50만3300건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공공기관 사칭이 35만10건(69.5%)으로 가장 많았으며, 택배 사칭 9만1159건(18.11%), 지인 사칭 5만9565건(11.83%), 금융기관 사칭 164건(0.0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범죄자들의 스미싱 수법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이전에는 명절 택배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을 사칭한 건강검진 독촉이 단골 수법이었는데, 최근에는 공공기관을 사칭해 가짜 인터넷주소(URL) 클릭을 유도하는 경우가 활개를 치고 있다.

KISA에 따르면 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스미싱 건수가 지난해 35만10건으로 2022년 1만7726건보다 1874% 증가했다. 금융감독원도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965억원으로 2022년 1451억원 대비 35.4% 증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해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최근 정부는 해외직구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과 제품 안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통합인증마크(KC) 인증이 없는 해외직구 금지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등의 이유로 소비자의 큰 반발을 일으켜 급히 철회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공격 예방을 위해 강력한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자주 변경하는 등 사용자가 경각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개인정보 유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2단계 인증을 한다거나 비밀번호를 길게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스미싱 메시지를 받을 경우 낯선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지 않고 반드시 번호 차단과 삭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