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위한 대화의장 복원 시급…22대 국회서 새정치 실천 주목
|
|
총선이 남긴 아물지 않은 상처는 적지 않다. 벌써 다수의 의석을 차지한 범야권에선 '채 상병 특검법' '검찰 개혁' '한일관계' 등 그간 여야의 강대강 대치를 보였던 카드를 꺼내 들며 본격적인 실력 행사에 나선 모습이다.
국민들은 변화하지 않는 정치권 행보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초당적 협력을 통해 국민이 먹고 사는 산적한 과제를 해결해야 함에도 그러한 모습이 실종된 지 오래다.
이에 전문가들은 22대 국회에선 이런 '검투사 정치'를 끝내고 고물가, 저출산 등 위기에 놓인 국민의 삶을 돌아보는 정치권의 협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그간 지역과 이념에 기반해 국민을 쪼개놨던 정치권이 이제 증오를 내려놓고, 상처로 얼룩진 대화의 장을 시급히 복원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번에도 유례 없는 네거티브 전이 벌어졌으며 정책 대결이 아예 실종됐고, 앞선 21대와 비교했을 때 이러한 갈등이 심화됐다고 본다"며 "이러한 점에서 대통령과 거대 정당은 자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증오의 정치를 그만두고 협치를 해야 하며, 서로 머리를 맞대고 미래 대안을 본격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총선에 패배한 여당에선 정부의 국정기조 변화와 더불어 당정관계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더 나아가 '환골탈태'를 통해 벼랑 끝에 내몰린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도 부상하면서 심판론과 같은 정치적 승부수에만 집중했던 '혐오 정치'에서에서 탈피하는 모양새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학과 교수는 "여야 모두 민생을 생각하는 협치의 자세가 필요하다"며 "대통령실도 무조건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이 아닌 거부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국민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정을 운영하며)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설명해야 하며, 타협하는 자세로 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상일 정치평론가도 "정치권이 혐오의 정치가 아닌 국민을 위한 경쟁하는 정치, 경연을 통해 국민에게 심사 받는 정치로 바뀌어야 한다"며 진영 간 갈등 해법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