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따르면 문화도시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지역 중심 문화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앞으로 새롭게 지정될 대한민국 문화도시는 기존 문화도시의 산물이다. 앞서 지정된 전국 24곳 문화도시는 저마다 독특한 문화자원을 이용해 꽃을 피우며 지역 발전과 문화 부흥을 선도하고 있다.
문화도시는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문화예술·문화산업·관광·전통·역사·영상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도시 발전을 이루고, 시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문체부 장관이 지정하는 법정 문화도시다.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4곳이 지정(1~4차)됐다. 세부적으로 부천시·서귀포시·영도구·원주시·천안시·청주시·포항시(1차), 강릉시·김해시·부평구·완주군·춘천시(2차), 공주시·목포시·밀양시·수원시·영등포구·익산시(3차), 고창군·달성군·영월군·울산광역시·의정부시·칠곡군(4차)이다.
문화도시는 5년간 최대 200억원(국비 50%·지방비 50%)을 지원받는다. 그동안 문화도시 공모에 참여한 지자체만 104곳에 이를 정도로 수년간 공모 과정에서 경쟁이 치열했다.
올 초 문체부가 발표한 '2022 문화도시 성과'를 보면, 정부의 문화도시 추진계획 발표 이후 전국 광역·기초지자체 243곳 중 103곳(42%)이 지역 주도로 도시의 고유문화 여건을 진단해 도시를 발전시키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했다. 이 중 88개 지자체는 '문화도시 조례'까지 제정했다.
|
전국에 고루 분포한 문화도시 24곳은 이 같은 예산을 양분 삼아 체계적인 사업을 펼치며 저마다 특색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지역 주민은 물론, 국민적 호응을 얻고 있다.
대한민국 문화 발전에 첨병 역할을 해 온 '법정 문화도시'는 1차 지정 도시의 경우 내년까지, 지난해 4차 선정된 도시는 오는 2027년까지 사업을 이어간다. 오는 2027년까지인 '대한민국 문화도시'의 사업 기간과 같다.
이미 문화도시로 지정돼 사업 추진을 경험한 지자체장 등 관계자들은 그러나 지금껏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항상 모자라는 게 예산이고, 시민 공감 형성과 관계부처 조율에 시간은 촉박했다.
특히 어려움에 닥치면 다른 문화도시는 어떻게 헤쳐나갔는지 살피는 게 습관이 됐다. 그때마다 해법을 찾았고, 그래서 구성한 게 전국문화도시협의회다.
다양한 시행착오는 고스란히 노하우로 남았다. 24곳 문화도시 관계자들은 기존의 문화도시 성과 DNA가 내년에 새롭게 출범하는 광역권 대한민국 문화도시의 기틀이 된다고 강조한다. 24곳 문화도시 성과 DNA를 얼마나 잘 받아들이냐에 따라 대한민국 문화도시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기대된다.
김기재 전국문화도시협의회 의장(부산 영도구청장)은 "지역 인구소멸 위기, 청년 일자리 감소, 사회적 단절감 심화 등을 완화하는 게 시대의 사명이자 문화의 사명"이라며 "도시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의 역할이 더욱 심도 있게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