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측정 대상 절반 축소·처리 과정 등
국민 불신에 수산물 소비 기피 우려
어민 "생계난 생기면 어쩌나" 하소연
23일 해양수산부와 수산업계 등에 따르면 일본 도쿄전력이 올해 봄이나 여름 1㎞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무엇보다 최우선적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오염수를 방류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류재형 주영국대사관 겸 국제해사기구(IMO) 대표부 해양수산관은 지난해 10월 3일부터 7일까지 영국에서 열린 '제44차 런던협약 및 제17차 런던의정서 당사국 총회'에 참석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해양에 방출될 경우 해양환경 및 생태계, 주변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 등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특히 해양환경 안전성을 논의하고 정확한 데이터 공유를 요청하는 등 오염수 방출 전 과정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일본의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불리는 오염수 처리 과정에 대한 우리나라의 국민적 우려와 불신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난 16일 삼중수소와 관련 우리나라 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지만 국민적 논란만 확산시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미흡한 데이터로 단순 안전하다는 식의 공신력없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해 두려움을 키웠다"고 꼬집었다.
일본측이 제공한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가운데 '삼중수소'에만 한정된 설익은 시뮬레이션 결과 발표가 오히려 국민적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오염수 방출 전에 측정하는 대상 핵종 수 역시 64개에서 30개로 축소한 일본의 결정도 우리나라 국민들의 반감을 사고 있다.
원전 오염수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본 정부가 해양 방류를 강행할 경우이다.
'오염수 방류→국민적 불안감 고조→수산물 소비 기피'로 이어지면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어민들의 생계가 위협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홍석희 제주어선주협회장은 "다수의 전문가들이 오염수 방출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소비하는 국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며 "이상이 없는지 여부 등을 정부가 제대로 확인해 국민들에게 정확히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이번에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수산물 소비가 잘 안 될 것 같다"면서 "기름값도 오르는데 잡은 생선도 안 팔리면 생계난에 처하는 어민들도 생기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하소연했다.
단 일부 원자력 전문가들은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해도 우리나라 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예상보다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2011년 후쿠시마 사고 당시 전혀 처리되지 않은 채 오염수가 배출됐지만 (해류가 다시 돌아오는 기간동안) 우리나라나 바닷물에 미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