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달새 스타벅스·굽네치킨 가격↑…정부, 외식 프랜차이즈 물가 공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223010012679

글자크기

닫기

임초롱 기자

승인 : 2022. 02. 23. 15:14

'사회적 거리두기'...점심시간 식당가<YONHAP NO-1930>
정부가 외식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의 프랜차이즈 가격을 23일부터 매 주마다 한 데 모아 공표하기로 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식당가 모습. (기사 본문과는 상관 없음) /제공 = 연합
정부가 외식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의 프랜차이즈 가격을 한 데 모아 공표했다. 집계 조사를 보면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 등의 커피를 비롯해 피자(피자마루·도미노피자)·치킨(굽네치킨)·햄버거(맘스터치·버거킹) 등의 가격이 한달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농산물유통정보(KAMIS)를 통해 2월 셋째주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가격 동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최근 외식 물가가 크게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가 자주 찾는 외식품목의 주요 업체별 가격을 모아서 제공키로 했다. 가맹점수 등을 고려해 품목별 조사대상 프랜차이즈 브랜드 총 62개를 선정했고 브랜드별 15개 매장(수도권 10개, 광역 5개)을 표본으로 뽑았다.

대표 메뉴는 홈페이지상 추천·베스트·인기 표시가 됐거나 없는 경우 기본 메뉴를 선정했다. 공식 홈페이지 가격이 있는 경우 공식 홈페이지 가격, 없는 경우 표본 매장 평균 가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62개 브랜드 중 16곳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품목의 전월대비 가격 상승폭을 보면 △죽 4.0% △햄버거 1.1~10.0% △치킨 5.9~6.7% △떡볶이 5.4~28.7% △피자 3.2~20.2% △커피 2.9~8.2% △설렁탕 1.8% 등이다.

한식·분식 중에서는 본죽이 쇠고기버섯죽 가격을 9357원으로 전월대비 4.0% 올렸고 한촌설렁탕은 설렁탕 가격이 9542원으로 한달새 1.8% 인상했다. 떡볶이는 죠스떡볶이가 로제크림떡볶이(5000원), 죠스떡볶이(3500원)을 각각 28.7%, 16.7% 올렸다.

김밥(김밥천국·바르다김선생 등), 짜장면(홍콩반점0410 등), 삼겹살(하남돼지집 등), 돼지갈비(명륜진사갈비), 갈비탕(곽만근갈비탕) 등은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

햄버거는 맘스터치의 불고기버거 가격이 3300원으로 10.0% 올랐다. 버거킹은 와퍼(7300원·1.8%), 맥도날드는 불고기버거(3014원·3.9%), KFC는 징거버거(4900원·1.2%) 등 가격이 상승했다.

치킨은 굽네치킨만 가격을 5~6% 가량 인상했다. BBQ·BHC·교촌치킨 등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의 한달새 가격 인상은 없었다. 피자는 피자마루(8.2~10.5%), 59피자(9.2~20.2%), 도미노피자(3.2%), 피자알볼로(5.4~8.7%) 등의 가격이 상승했다.

커피는 스타벅스 카페아메리카노(4500원·3.3%), 카페라떼(5000원·2.9%)와 투썸플레이스 아메리카노(4500원·8.2%), 카페라떼(5000원·7.4%) 가격을 인상했다. 할리스도 아메리카노(4500원)와 카페라떼(5000원) 가격을 각각 8.2%, 7.4% 올렸다.

정부가 민간 기업들의 주요 외식품목 가격을 공개한 이유는 최근 지속적인 물가 상승세 대응 차원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동향 조사에서 외식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5% 올라 2009년 5월(5.6%) 이후 약 12년 만에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원재료인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상승한 데다가 최저임금 인상 영향도 포함됐다.

정부는 프랜차이즈 업체 등 대상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는 한편 가격을 통합 공표함으로써 간접적인 물가 상승세 완화를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외식물가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배달앱별 배달비도 조만간 처음으로 공표할 계획이다.

한편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외식품목 가격 공표 후 관계기관 합동 간담회를 열어 업계 애로 사항을 듣고 앞으로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의논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보든 어려운 상황에도 가격을 올리지 않은 곳들이 더 많은데 소비자들이 공표를 보고 외식을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업계도 제도 취지를 이해하고 정부도 부담 완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발전적 논의를 한 만큼 앞으로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고 했다.
임초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