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크메르타임스에 따르면 전날 훈센 총리는 수도 프놈펜에서 아세안 회원국과 외국 외교관들이 대거 참석한 한 호텔의 개업식에서 아세안 의장국으로서의 역할과 포부에 대해 연설했다.
훈센 총리는 “내년 아세안 의장국을 맡는 캄보디아의 최우선 과제는 미얀마의 위기와 남중국해 행동강령(COC)에 대해 아세안의 합의를 찾아내는 것”이라며 “캄보디아의 역할을 과소평가하지 말고 캄보디아가 먼저 할 수 있도록 하라. 노력하는 캄보디아를 방해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지난 2월 1일 발발한 이후 해결되지 않고 있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에 대해서는 아세안의 중재자 역할을 강조했다. 의장국 수임을 앞두고 아세안의 직접 개입은 불가능하고 그래서도 안된다는 전통적인 내정불간섭의 원칙을 상기시킨 것이다. 올해 아세안은 미얀마 쿠데타 사태 해결에 있어 군부 쿠데타를 강력히 규탄한 회원국들과 쿠데타를 내정 문제로 간주하고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는 회원국들로 나뉘었다.
훈센 총리는 “아세안은 중재자일뿐이다. 미얀마 사태를 종식시킬 결의안이 나오지 않더라도 의장국인 캄보디아를 비난해서는 안된다. 주요 쟁점은 미얀마 내 정치세력(군부·민주진영) 간의 화해”라면서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세안의 특사로는 쁘락 소콘 캄보디아 외교장관이 지명될 것”이라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캄보디아는 다음번 아세안 정상회의를 9개국이 아닌 10개 회원국이 모두 참가하는 회의로 개최할 것이라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0월 아세안은 미얀마 군정을 배제한 채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1999년 캄보디아가 아세안에 가입하며 회원국이 10개로 늘어난 이후, 10개 회원국의 모든 정상·대리 참석자가 모이지 않은 가운데 정상회의가 개최된 것은 처음이었다.
또한 훈센 총리는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 “아세안이 남중국해 분쟁의 심판관은 아니다”라면서도 “의장국으로서 남중국해 행동강령(COC) 제정을 위해 효과적이고 상호 수용 가능한 협상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남중국해 분쟁 역시 아세안 내에서는 중국과 직접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회원국과 그렇지 않은 회원국들로 나뉜다.
분쟁 당사자가 아니며 중국과의 경제 협력·외교 관계 등으로 친중국 성향으로 분류되는 캄보디아는 라오스·미얀마 등과 함께 “중국의 편을 든다”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공동선언문에 남중국해 언급 자체나 강경한 입장에 대해 강력히 반대해오고 있다.
태국 나레수안대의 아세안공동체 연구센터 폴 체임버스 교수는 “훈센 총리의 새로운 아세안 특사 임명으로 미얀마 군정이 5개항 합의를 준수하기 시작한다면 괜찮지만, 이를 또 거부할 경우 결국 새로운 특사 임명은 시간과 노력의 낭비였다는 것을 보여주게 될 것”이라 평가했다. 그는 “훈센 총리가 아세안 10개 회원국 모두의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고 약속한 것은 좋지만 미얀마가 5개항 합의안을 계속 따르지 않을 경우 아세안 정상회담에 초대되어선 안된다”고 밝혔다.
앞서 아세안은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총사령관이 참석한 지난 4월 24일 특별정상회의에서 미얀마 쿠데타 사태 해결을 위해 △미얀마의 즉각적 폭력중단과 모든 당사자의 자제 △국민을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 위한 건설적 대화 △아세안 의장과 사무총장이 특사로서 대화 중재 △인도적 지원 제공 △아세안 특사와 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 5개항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후 미얀마 군부가 이를 이행하지 않아 실질적인 진전은 이뤄지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