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이노베이션, 시설정비에도 친환경 도입…폐기물·폐수 ‘해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1107010003940

글자크기

닫기

권오철 기자

승인 : 2021. 11. 07. 09:57

1
울산CLX의 원유저장탱크와 울산CLX 내에서 철거된 설비들(왼쪽부터)./제공=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주력 생산기지인 울산Complex(이하 울산CLX)가 공장 운영 시설의 정비를 ‘친환경 그린(Green) 방식’으로 전환하고, 시설을 유지·보수·관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및 폐수 문제 해결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나섰다.

7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울산CLX는 기계·장치·배관 등 공장 운영 시설의 정비를 ‘친환경 그린 방식’으로 전환했다. SK이노베이션은 “울산CLX는 보다 깨끗하고 쾌적한 ‘클린 CLX’를 만들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그린 정비작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먼저, 울산CLX에서는 각종 정비 작업에서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했다. 탱크 내부의 바닥과 천정의 철제판(탱크 플레이트)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일부 기계 부품 교체에는 친환경 제품을 사용했다. 또한 올해 상반기 원유저장지역 탱크 정기 개방 검사에서 발생한 폐오일샌드를 폐기물로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해 산업폐기물 발생량을 줄였다.

또한 철거된 설비를 교육 훈련을 위한 보조재료(교보재)로 이용하고, 정기보수 시 각종 열교환기 등의 물청소에 사용된 용수를 임시 회수 처리기를 활용해 80% 이상 다시 사용했다. 이 외에도 탱크·배관 등의 보온재로 사용되는 펄라이트 역시 재활용했다. 기존 펄라이트는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교체한 펄라이트에서 상태가 양호한 것을 별도로 분리수거하고 전문 가공 업체에서 재가공해 보온재로 재사용한 것이다.

정비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전기 및 발전기 사용을 혁신해 오염물질 발생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성과도 냈다.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는 전원에 직접 콘센트를 꽂는 상용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용 발전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울산 CLX는 이동용 발전기가 소음이 심하고 매연 저감 장치가 없어 오염물질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용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개선해 이동용 발전기 사용을 최소화했다.

올해 상반기에 진행된 원유저장지역의 탱크 정기 개방검사에서도 이동용 발전기 대신 상용전기를 사용해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온실가스를 저감해 ‘클린 CLX’의 일환인 ‘클린 에어(Clean Air)’ 추진에 기여하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울산CLX는 ‘클린 CLX’를 만들며, 동시에 SK이노베이션이 선언한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완성을 향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