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주재 한국대사관과 베트남 총리실 행정절차개선자문위원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행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 기업의 시름을 덜어주고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베트남 각 부처 고위급 인사 50여명과 삼성전자·LG전자·포스코·롯데·한화·신한은행 등 베트남 진출 주요 한국 기업과 코트라·코이카 등 공공기관 등을 대표한 150여 명이 참석했다.
박노완 주베트남 한국대사는 이날 중 장관과 이런 토론회를 매년 2차례 정기적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박 대사는 “총리실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 기업만을 별도로 초청해 대화를 나누는 뜻깊은 날”이라며 코로나19로 끊긴 양국 간 인적교류를 조속히 정상화 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기업인들이 베트남 입국 후 격리되는 기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지난 5월 한국 정부가 베트남 정부에 정식 제안한 방안과 관련한 실무협의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중 장관은 “베트남 총리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시에 따라 행정절차 개선 및 한국기업의 애로·건의사항을 듣고 해결해주기 위해 마련된 것이 오늘 행사”라며 “베트남은 한국 기업의 어려움 해소에 강력한 의지가 있다. 진출 한국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안전한 투자환경 조성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애로사항을 보고해 적극 해결할 것”이라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 진출 한국 기업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중단된 양국간 인적교류 중단으로 인한 어려움 △세무조사·각종 인허가 비용의 부담 △베트남 당국의 인허가 지연으로 인한 사업 차질 등을 호소했다.
김한용 하노이 한국상공인연합회(코참) 회장은 “양국간 이중과세방지협정에 외국인 계약자세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며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3자 거래로 인한 매출 채권의 1%를 베트남에 세금으로 내야 하니 부담이 막중하다. 신속히 개선해달라”고 요청했다.
최주호 삼성전자 베트남 복합단지장도 “베트남의 투자 증액을 위해 투자등록증을 변경하는 데 수개월씩 걸린다. 작년에 삼성의 한 계열사가 이로 인해 차질이 발생할 뻔했다”며 행정절차 간소화를 요청했다.
이 밖에도 한국 기업의 단기 파견 근로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과 노동감사 유예 요청이 있었고, 파견 근로자의 사회보험 이중 납부 해소를 위해 사회보장협정의 조속한 체결 요구가 나왔다. 중견기업들도 베트남 지방 정부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사업에 차질이 크다는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중 장관은 “한국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잘 접수했으며 정리해 총리주재 상임위원회에 보고하겠다. 진출 한국기업들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