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도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공동 주관하는 사업으로 글로벌 신약 개발에 필요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사업은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지원 등 총 4개 분야로 나눠진다. 총 7개 기관이 이번 사업에 참여한다.
이화여대는 이 중 후보물질 발굴 분야에서 전국 약학대학 중 유일하게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올해부터 최장 3년간 38억75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최선 이화여대 약학과 교수는 빅데이터/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및 신약후보물질 도출이라는 연구과제의 총괄 연구책임을 맡는다.
최 교수는 빅데이터·AI 기반 신약 개발 연구를 중점으로 분자모델링 등 생물물리학적 방법을 의약학 분야에 도입한 이력이 있는 전문가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는 주관연구기관인 이화여대 외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대, 포항공대, AI 전문회사 AITRICS 등이 참여한다.
글로벌 신약 개발은 고위험 및 고수익 산업 분야로서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진출에 진입 장벽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화여대는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고성능 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신약 개발 혁신 연구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최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국가적으로도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책임감을 가지고 좋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게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