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교수의 이러한 요구는 MBC가 “지난 1990년 서울대에 제출된 안 후보의 박사학위논문이 안 후보보다 2년앞서 박사학위를 받은 서울대 서 모교수의 학위논문과 인용·출처표기없이 거의 동일하다”는 보도가 있은뒤 나온 것이다. 이와 별도로 조선일보는 1993년 안 후보가 2명의 공저자와 함께 서울대 의대학술지에 제출한 논문이 1988년 공저자중 한명인 A씨의 석사학위 논문을 빼다 박은 듯 똑같다고 보도, 또 다른 표절의혹을 제기했다.
신문은 또 안 후보가 이 논문을 2011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채용될때 주요연구업적 가운데 하나로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러니까 안 교수는 다른 사람의 석사학위 논문을 배껴 대학원장 채용시 주요업적으로 내놓은 셈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안 교수는 심각한 도덕적 결함증에 빠졌고 서울대도 그 책임을 벗기 어려울 것이다.
다른 매체는 안 후보의 연구업적이 석·박사논문을 제외하면 3편에 불과한데 이것이 서울대의 정년보장 교수임용의 조건에 맞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안 후보가 부인 김미경 교수와 함께 서울대에 임용당시 2인 모두 담당 강의과목도 정해지지 않은채 결정된 사실도 제시했다.
안 후보에 대한 의혹은 이뿐 아니다. 부인 김 교수에 이어 자신명의의 아파트도 다운계약서 의혹을 사고 있고 포스코 사외이사로 있을 당시 특혜성 보수를 받고 40여 회사의 인수합병을 묵인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그런데도 안 후보는 지금까지 부인 김 교수의 다운계약서에 대해서만 짤막한 사과발언을 했을 뿐이다.
안 후보는 그의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에서 “구체제를 극복하고 미래가치를 갈구하는 민심의 열망을 뿌리치기 어려워 대선출마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우리사회의 긍정적 변화에 얼마나 보탬이 될수 있을까’를 판단기준으로 삼았다고도 했다. 안 후보는 이제 자신이 수많은 구악·구태의혹을 받으면서도 사회변화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지금까지 그는 이슬만 먹고 산 가장 깨끗한 사람인척 젊은이들 앞에서 행세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가 ‘관행’이라고 말한 의혹 때문에 십수명의 장관후보들이 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낙마했다는 사실을 안 후보가 기억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