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무원 상습성추행, 횡령 7월에만 ‘30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694233

글자크기

닫기

정필재 기자

승인 : 2012. 09. 07. 17:26

 행정안전부는 7월 한 달간 244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휴가철 공직기강 감찰에 나선 결과 부하직원 상습성추행과 횡령 등 30건의 기강해이 사례를 적발했다고 7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 중 3건을 고발조치했고 21명에 대해 징계조치를 권고했다.

충청북도 청주시 간부 A씨는 부하 여직원을 휴대전화와 내부통신망을 이용해 성희롱하고 자신의 집으로 유인해 신체접촉을 시도하는 등 7년간 상습적으로 성추행 한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또 2007년 부하직원으로부터 6000만 원 등 주식투자 목적으로 1억 3000만원을 빌렸다가 모두 잃고 갚지 않기도 했다.

행안부는 충청북도에 A씨에 대한 중징계와 고발을 권고했다.

경상북도 문경시의 B씨는 2011년 3~7월까지 노래방이나 식당 등 회식장소에서 부하직원을 껴안고 춤추면서 수차례 성희롱해 역시 중징계가 권고됐다.

휴가철을 앞두고 직무 관련 업체로부터 휴가비를 받은 공무원들도 줄줄이 적발됐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C씨는 지난 7월 23일 사무실에서 업체 사장으로부터 휴가비로 80만원을 수수했고 경남 양산시의 D씨는 지난 7월 24일 시청 주차장에서 업체로부터 휴가비로 50만원을 받다가 감찰반에게 덜미를 잡혔다.

100만원 이하 현금수수는 경징계 대상이다.

경기도의 한 자치단체 농기계 수리센터 공무원들은 2010년 1월~지난 7월까지 농기계 수리비 696만원을 횡령하고, 농기계를 사적으로 이용해 벼 수확을 해주는 대가로 48만원을 받는 등 228만원을 부당하게 수수한 사실이 적발돼 역시 중징계·고발 조치가 권고됐다.

가뭄극복 비상근무 기간에 부하직원들을 모집해 조퇴ㆍ연가 처리하고 골프를 치다 적발된 공무원도 있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청와대와 총리실, 권익위 등에 들어온 투서와 경찰 정보 등을 토대로 현장감찰을 나가 잠복한 결과, 휴가철 공직기강 해이 사례를 다수 적발했다”며 “내주부터는 추석 감찰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필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