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15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고객사들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계획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존엔 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에 5∼10년 정도 생각하고 있었지만, 최근의 변화와 흐름을 고려하면 조금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또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에 대한 회사의 장기적 비전과 의지는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과 한국에 생산을 의존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보복성 관세 정책에 취약한 상황이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율을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기본 관세 10%만 적용하기로 한 상태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엔 K팝·K드라마 등 한류에 힘입어 한국 화장품 산업의 대미 수출액이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시장 매출은 2021년 1018억원에서 지난해 5256억원으로 5배 뛰었다.
김 대표는 "우리 스킨케어 브랜드는 고급 화장품 매장이나 온라인 채널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며 "앞으로 미국 시장에서 고급 스킨케어부터 저렴한 제품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금이 정점이라기보다는 주류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