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성 아닌 '업을 통한' 사회공헌
"ESG 실천, 브랜드 신뢰와 직결"
|
1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GRS는 올해로 4년째를 맞는 바리스타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500여 명의 청소년들에게 바리스타 교육을 제공했다. 2022년 227명(14회), 2023년 158명(7회), 2024년 100명(6회) 등의 청소년들이 바리스타 과정을 수료했다.
'바리스타 직업 체험 프로그램'은 지난 2022년 차우철 대표가 취임 직후 도입했다. 서울 지역 중·고등학교와 연계해 커피·음료 제조 실습 기회를 제공, 청소년들에게 바리스타라는 직업을 알리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게 도입 취지다. 일회성 사회공헌이 아닌 '업(業)을 통한' 사회공헌을 통해 미래 인재 육성에 힘을 보태자는 게 이 프로그램의 지향점이다. 청소년뿐만이 아니다. 롯데GRS는 희망퇴직자 및 정년퇴직자 중 만 50세 이상 근로자를 대상으로 2021년부터 재취업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재취업 프로그램에는 바리스타·매장관리자 양성교육 등이 있다.
롯데GRS는 바리스타 직업체험 프로그램과 재취업 프로그램 이수자들 상당수가 관련 업무에 종사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앞으로도 진로체험 등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한편, 지원범위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롯데GRS는 이같은 사회공헌 활동을 담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도 2022년부터 발간 중이다. 비상장사로 해당 보고서를 발간할 의무가 없는데도, 자발적으로 ESG 경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셈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차우철 대표 취임 이후 실적은 물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롯데GRS는 앞으로도 ESG 경영을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ESG경영 차원에서도 직원 수도 지속적으로 늘리는 추세다. 롯데GRS에 따르면 신규 채용자 수는 2021년 32명에서 2023년 185명으로 크게 늘었다.
롯데GRS 관계자는 "외식업은 소비자와의 접점이 빈번한 산업이기에, ESG 실천이 곧 브랜드 신뢰도와 직결된다"며 "앞으로도 ESG 경영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책임 있게 실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 바리스타 직업 프로그램은 현재도 진행 중으로 올해는 오는 5월에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