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허가 확보, 병행공사 추진
"내년 6월 준공 위해 노력할 것"
|
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지난달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사업' 실시계획 변경과 관련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마쳤다. 통상 전력망 건설 사업에 있어 가장 큰 난관은 '주민수용성 확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전력공급을 시작한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주민수용성 문제로 150개월 이상 준공이 늦어졌다. 이번 동서울변전소 사업은 주민의견 수렴 절차 종료로, 최대 난제가 해결되면서 이르면 이달 중 건축허가 획득 후 착공 초읽기가 가능할 전망이다.
동서울변전소 사업은 동해안 일대에서 생산되는 대규모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의 종점 역할을 한다. 이 사업은 기존 변전소에 있던 일부 철탑을 철거한 후 지중화하고, 옥외설비들을 실내 건물로 옮기는 '옥내화 사업'과 남은 부지에 500킬로볼트(㎸)급 초고압직류송전(HVDC) 변환소를 짓는 '변환소 건설 사업'으로 나뉜다. 약 7000억원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이다.
특히 지금 당장 전력망이 부족해 발전소 가동 제약이 잦아지고 있는 데다가 이르면 2년 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앞두면서 수도권 전력 공급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미 수도권 전력수요는 전국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최근 삼척블루파워 등 동해안 일대 발전소들은 생산되는 전력을 수송할 전력망이 부족해 가동을 멈추고 있다. 동해안 지역 발전 용량은 17.9기가와트(GW)인데 비해 송전용량은 14.5GW 수준으로, 3GW 가량을 버리고 있다.
이에 동서울변전소 사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하지만, 엎친데 덮친 격으로 지난해 하남시에서 주민수용성 부족을 이유로 인허가 불허 통보를 하면서 4개월 가량 법적 다툼도 생겼다. 지난해 12월 경기도 행정심판위원회에서 한전의 손을 들어주면서 물꼬가 트였다. 한전 관계자는 "건축허가 등 후속 인허가를 확보하고, 병행공사 등을 신속히 추진해 오는 2026년 6월 준공을 위해 최대한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력망 적기 건설에 신호탄이 울리면서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해져 국가 경제 발전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동서울변전소 사업은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로의 전력공급 역할이 있어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된다. 하남시와 행정심판으로 조금 지연된 문제는 있지만, 이달 건축허가를 받게 된다면 바로 착공 절차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원활한 절차 진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