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상호관세 변수에 은행권 긴장…올해 첫 중기대출 감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7010004084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4. 07. 17:59

지난달 5대은행, 중기대출 0.13% 감소
1월 중소법인 연체율 0.81% '통계 최고치'
은행권 공급 선별 기조 강화 영향
5대 시중은행
5대 시중은행 전경.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각 사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이 지난달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말부터 2월까지 증가세를 이어오던 흐름이 꺾인 것으로, 주주환원 규모의 핵심인 보통주자본(CET1) 비율 관리를 위한 우량 기업 중심의 대출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당분간 이 같은 분위기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달 초 미국의 상호관세 방침 등 대외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중소기업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경계심이 커진 탓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663조1922억원으로 전월 대비 0.13% 감소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우리은행이 연초 대비 1.5% 줄며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0.06%, 0.05% 줄었다. 반면 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은 각각 0.5%, 0.4% 증가했다.

이는 우량기업 중심의 선별적 대출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업가치 제고의 핵심인 CET1 비율 개선을 위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은행들은 기업대출 공급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즉 실적이 불안정하거나 위험도가 높은 차주에 대해서는 공급을 조절하고, 우량 차주에 대해서는 여신을 유지하거나 확대하는 식이다.

중기대출 감소에는 건전성 악화 우려도 한몫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중소법인 대출 연체율은 0.81%로,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내수 회복 지연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인해 대출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이 늘면서 연체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달 초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에 25%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수출 중소기업 및 관련 협력업체의 실적 악화 우려가 커졌다. 실적 부진이 현실화될 경우,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60원을 넘어선 것도 부담이다. 수출 경쟁력 약화와 외화 조달 비용 증가가 동시에 작용할 경우, 중소기업의 수익·재무구조는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은행권은 이러한 대내외 리스크를 반영해 대출 포트폴리오 전반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 은행은 업종별 위험도를 반영해 대출 한도를 조정하거나, 재무 구조가 취약한 차주에 대한 신규 여신 공급을 제한하는 등 선별적 대응 기조를 강화하는 분위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체 은행권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가계뿐만 아니라 기업대출 전반을 모니터링하는 상황"이라며 "산업별 리스크와 환율 변동성 등 외부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들이 일정 수준의 기준 아래에서 자율적으로 조절하고, 당국과 정보 공유를 이어가는 흐름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