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고 재발 시 은행장 엄중 책임
김성태, 임기 내 내부통제 개혁 의지
|
특히 강도 높은 쇄신안으로 그동안 은행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묻혀있던 내부통제 부실 부작용을 자신의 임기 내에 해결하고, 금융사고가 재발했을 땐 김 행장을 비롯해 경영진과 고위 임원도 함께 책임지는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지난 31일 'IBK쇄신위원회' 구성을 완료하고, 지난주 김성태 행장이 직접 발표한 쇄신 계획 실행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IBK쇄신위원회는 정순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송창영 변호사와 김우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가 외부위원으로 참여한다. 이들은 기업은행 업무 전반에 대해 범위와 대상의 제한 없이 고강도 쇄신을 벌일 예정이다.
김 행장이 강도 높은 쇄신을 통한 내부통제 시스템 개혁에 나선 배경엔 800억원대 부당대출 사고가 자리하고 있다. 2017년부터 수년에 걸쳐 이뤄진 이번 부당대출 사고는 퇴직 임직원과 임직원 가족 및 친인척, 동료 직원 등이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 행장은 지난 26일 대국민 사과와 함께 쇄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김 행장이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가 나옴과 동시에 쇄신계획을 내놓은 이유는 국책은행이 가진 책임감 때문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보다 강력한 내부통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했는데,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부당대출 사고가 기업은행에서도 발생하면서 김 행장이 심각한 위기로 인식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 행장은 2023년 기업은행장으로 취임 이후 2년간 2조원 후반대의 안정적인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성장세를 이어왔고, 중소기업대출 시장 점유율을 취임 전 22%대에서 지난해 23.65%까지 확대하며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역할에 충실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중장기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배당성향 최대 40%까지 상향, 분기배당 도입 등이 담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내놓으며 시장의 요구에 화답했다. 김 행장의 펀더멘털 강화 노력은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4년 초 1만1790원 수준이던 주가가 지난해 말에는 1만4430원, 이날 종가 기준 1만4590원까지 올랐다.
이처럼 지난 2년 동안 은행은 성장가도를 달려왔지만, 내부통제 부실 문제는 점차 심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김 행장은 자신의 임기 동안 기업은행 쇄신을 마무리하고, 보다 강화된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28일에는 내부자 신고제도를 활성화하고 금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외부채널에서 내부자 신고를 접수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전직 임직원과 외부인도 위법·부당행위를 제보할 수 있는 신고제도로 개선했다.
특히 은행 임직원과 친인척 등이 연루되는 이해상충 문제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임직원 친인척 정보 DB를 구축한다. 또한 내부통제 부실 문제와 관련해선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무관용 엄벌주의를 정착시켜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성태 행장은 "곪은 곳을 송두리째 도려내 고객과 국민의 신뢰를 다시 회복해 나가겠다"면서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은행장을 포함해 경영진과 고위 관리자부터 예외없이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정책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신뢰받는 은행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