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실적 전망 엇갈린 4대금융… 이자익 증가 속 일회성 요인 발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1010017353

글자크기

닫기

손강훈 기자

승인 : 2025. 03. 31. 17:37

1Q 순익 KB·신한 ↑·하나·우리 ↓
가계대출 급증에 가산금리 인하 주춤
예대마진차 확산…이자수익 긍정적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의 1분기 실적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이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는 반면,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일회성 비용과 순이자마진(NIM) 개선 여부, 대출 성장세 등이 영향을 미쳤단 분석이다.

금융그룹 실적에서 이자이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당초 금리인하기 진입으로 인해 올해 들어 이자이익은 감소세로 전환될 것이라 예상됐다. 특히 금융당국의 거센 대출 가산금리 인하 압력에 시중 은행을 중심으로 금리를 내리면서 이 같은 전망은 더욱 힘을 받았다.

하지만 토지거래허가제 폐지·재지정이라는 혼란 속에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당국은 태도를 바꿔 금융권에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가산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졌으며, 한동안 예대금리차(예금·대출금리 차이)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3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금융과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그룹의 올해 1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추정치 합은 4조7730억원이다. 전년 동기(4조2286억원)보다 12.9%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회생을 신청한 홈플러스 관련 대손비용 적립이라는 일회성 비용 발생에도 순이익 추정치는 작년보다 증가했다. 증권가에서는 KB금융은 540억원, 신한금융은 300억원 가량의 대손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들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3%, 7.2% 늘어난 1조5768억원, 1조4164억원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KB금융의 경우 작년 반영됐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충당금 기저효과가 반영됐으며, 신한금융은 순이자마진(NIM) 개선과 함께 기업대출 중심으로 늘어난 대출 성장이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하나금융의 순이익은 1.7% 줄어든 1조169억원, 우리금융은 7.4% 줄어든 7629억원으로 추정됐다. 하나금융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이 예상되는 NIM과 성장세가 둔화된 기업대출이 영향을 미쳤다. 하나은행의 2월말 기업대출은 작년말 대비 0.86% 늘었는데, 신한은행(1.14%)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낮다. 우리금융은 작년 4분기 진행한 희망퇴직 비용의 이연과 함께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위한 기업대출 축소가 순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우리은행의 2월 말 기업대출은 작년말 대비 0.24% 줄었는데, 4대 은행 중 유일했다.

예대마진차 확대 지속으로 인해 이자이익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들어 금융당국의 대출 가산금리 인하 압력에 주요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가산금리가 내려갔으나, 가계대출 급증에 규제 목소리가 커지면서 가산금리 인하 분위기는 거의 사라졌다.

은행연합회의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2월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1.3~1.4%포인트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을 제외하면 모두 전월 대비 확대됐으며, 이 같은 추세는 작년 8월부터 지속되고 있다.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예대금리차는 금융기관 이자수익의 핵심이다. 격차가 커질수록 은행들은 많은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졌음에도 은행들은 가계대출 관리를 이유로 가산금리를 내리지 않았고, 이로 인해 많은 이자이익을 냈다.

예대금리차가 확대됨에 따라 증권업계에서는 올 1분기 금융그룹의 NIM이 작년 4분기와 유사하거나 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금융과 우리금융은 0.02%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봤다.

올해도 이자이익이 금융그룹 수익성에 큰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3.8%)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사들이 할 수 있는 방안도 한계가 있다. 가산금리를 통한 대출 억제를 어느 정도 용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산금리 인하와 정책 실수가 맞물리면서 가계대출이 급등한 사례가 나왔기에, 당분간 금융당국의 가산금리 인하 요구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금리인하기에 본격적으로 진입한다고 해도 일정 수준의 예대금리차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이자이익은 양호한 수준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손강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