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 건 다수, 이유도 대동소이"
|
공수처 관계자는 1일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최 부총리에 대한 고발이 다수 있었고, 전날 국회로부터 임의제출 받은 자료들은 관련 자료 확보 차원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비상계엄TF가 아직 해산된 것은 아니어서 일단 큰 틀에서 수사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며 "단 사건을 수사3부가 보느냐 4부가 보느냐 또 주임검사가 바뀌느냐 등의 여부는 현 단계에서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앞서 공수처 수사3부는 전날 국회사무처에 수사관 등을 보내 마 후보자 임명 보류와 관련한 권한쟁의 심판 자료들을 확보했다. 국회사무처는 임의제출 형식으로 관련 자료를 공수처에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이 지난달 5일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 부총리를 직무유기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함에 따른 것으로, 최 부총리는 같은 혐의로 서울중앙지검과 경찰에도 고발된 상태다.
공수처 관계자는 특정 시민단체의 고발건으로 인해 자료 확보에 나선 것은 아니라며 "고발 건이 다수 있으며 고발 이유도 대부분 대동소이하다"며 "고발이 워낙 여런 건 중복돼 들어와 개별적으로 어떤 혐의가 있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혐의로 따지면 보도되고 있는 그 혐의(직무유기)로 보면 적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공수처 관계자는 이날 '비밀누설'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정섭 검사 사건에 대해선 "일단 기소를 했기 때문에 그 부분은 종결됐다고 보면 된다"면서도 "다만 비상계엄 TF에서 수사 중인 사건들이 좀 많이 남아 있는 게 있어 아직 그 수사까지 본격적으로 진행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수처 수사4부는 지난달 28일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를 받는 이 검사를 불구속기소했다.
한편 같은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비상행동은 '마은혁 임명 거부'와 관련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직무유기 등의 죄로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