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권한대행에 관한 법률안'
'인사권 행사 금지', 현상유지 강조
이제와선 "마은혁 미임명시 재탄핵"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30일 자신들이 추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오는 1일까지 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에 나서겠다며 사실상 재탄핵을 예고했다. 더 나아가 과반 이상의 압도적 힘을 활용해 국무위원 줄탄핵까지 시사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이끌어내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이런 민주당이 약 8년 전엔 정반대 목소리를 내며 완전히 다른 행보를 보였다. 박근혜 당시 대통령 탄핵 국면이던 2016년 11월 30일 민주당은 '대통령 권한대행에 관한 법률안'을 냈다. 인사권 행사 등 현상 유지에서 벗어난 권한 행사에 제동을 걸겠다는 의도였다. 이 법안엔 우원식 현 국회의장과 박찬대 원내대표도 서명했다. 권한대행 업무를 자신들 이익대로 바꾸는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해당 법안을 보면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정의 현상유지를 위한 범위 내에서만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 특히 인사이동이나 임명 등 현상을 벗어난 권한이 행사되면 국회가 과반 이상의 찬성으로 제동을 걸 수 있게 했다.
당시 민주당은 이런 법안을 발의하며 대통령 권한대행이 현상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업무만 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현재 한덕수 권한대행이 줄곧 강조하고 있는 국정운영의 결을 같이 하는 '현상유지' 기조와 같다.
하지만 민주당은 지난해말 한 대행 탄핵 전부터 자세를 완전히 고쳐잡고 한 대행에게 헌법재판관 임명을 촉구했다. 당시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위헌 행위"라며 "한 대행은 국회가 헌법재판관 임명 동의안을 정부로 이송하는 즉시 단 1분 1초도 지체하지 말고 바로 임명하라"고 압박했다.
민주당이 현 8인 체제인 헌법재판관 구성을 9인 완전체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과거 법안 발의를 전면 부정하는 행태다. 인사 등 '현상유지'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될 만한 사안을 지금은 즉시 이행하라는 이율배반적 행위라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민주당은 이날 '중대 결심'을 거론하며 직무에 복귀한 한 대행을 재탄학하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탄핵하는 '쌍탄핵'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민주당은 31일 국회 운영위에서 한 권한대행에게 마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할 방침이다. 사실상 한 대행 재탄핵 절차에 돌입하겠다는 의지다. 이에 더해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는 나머지 국무위원들도 탄핵하는 '줄탄핵'을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