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25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포시즌스호텔에서 1조1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 조성 첫 단계로 공공기관과 투자계약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 정책펀드에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한국도로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공항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수출입은행 등 해외투자개발, 인프라, 수출금융 분야 10개 공공기관이 참 투자자로 참여한다.
이날 체결식에 참석한 참여기관들은 향후 국토교통부 장관의 임석 하에 펀드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과 PIS 2단계 펀드 조성 및 투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펀드를 통해 해외 건설시장에서 단순도급 방식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으로의 우리기업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는 지난 2019년부터 정부와 공공기관·민간이 함께 조성해 금융지원 프로그램으로도 진행되고 있다. 2019년 1단계 펀드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1조4000억원의 자금 조성이 완료됐다. 올해 6월까지 1조5000억원의 펀드 투자를 완료한다는 게 국토부의 계획이다.
PIS 2단계 펀드는 전체 펀드 규모의 10%에 해당하는 1100억원의 정부 재정과 30%를 차지하는 3300억원을 공공기관 투자를 통해 모태펀드가 조성된다. 나머지 6600억원은 민간투자를 유치해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종합하면 총 1조1000억원 규모의 하위펀드(자펀드)가 조성되는 것이다.
2단계 펀드 투자 대상은 하위·중위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에서 추진되는 △플랜트 △교통 및 물류 인프라 △도시개발 등 해외 투자개발사업이다. 전체 투자의 60% 이상을 국내 기업이 해외수주·수출·사업개발·지분투자 목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또 2단계 펀드 투자에 참여하는 공공기관들 주도의 해외사업에도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국내 인프라 건설·운영에 많은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국내 공공기업과 민간기업과 함께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즉시 하위펀드 조성을 시작해 올해 상반기에 투자가 종료되는 PIS 1단계 펀드에 이어 8월부터 본격적인 사업발굴 및 투자를 개시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해외건설 1조 달러 수주 달성에 이어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동력은 투자개발사업"이라며 "이를 위한 체질 개선에는 금융 경쟁력이 필수적인 만큼, PIS 2단계 모태펀드에 투자한 공공기관들의 선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