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권잠룡으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25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전날 저녁 이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은 말을 이 대표로부터 들었다고 밝혔다.
김 전 총리는 전날 이 대표와의 회동을 두고 "이 대표가 당 운영을 너무 일방적으로 하는 것 아닌가 하는 당내 비판이 있었다. 그간 당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던 중진들을 만나 속마음을 터놓고 협조도 요청하는 자리였다"며 "한 번의 만남으로 의견이 좁혀지지는 않았겠으나 속마음을 들었을 테니까 당 운영을 폭넓게 해야 할 것이라는 고민을 하시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이 대표의 최근 '중도보수'발언, 이른바 '우클릭' 논란에 대해선 "비민주적이고 몰역사적인 월권이며 당 정체성을 한 사람이 임의로 정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도 일부 표현에 있어서 그런 오해를 받을만하다고 시인을 했다"며 "다만 이 대표가 이야기하는 중도보수정당이라는 뜻은, 국민의힘이 극우로 쏠려가는 것에 대해 우리 당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취지로 이야기한 것이다. 당이 정책적 유연성을 보이는 것은 동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당의 정체성을 대표의 말 한마디로 규정하는 것은 신중해야 하고 그런 역량까지 자기정체성을 넓힌다면 당의 여러 기구 등을 통해 토론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며 "과거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도 외연확장을 하셨다. 사회가 맞닥뜨린 과제를 푸는데 이데올로기적으로만 접근하는 것으로 문제를 풀 수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사회자가 '앞으로 이 대표가 중도보수정당이란 말을 쓰지 않겠다고 받아들여도 되겠나'라고 묻자 김 전 총리는 "그것까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런 표현이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에 대해 본인이 인정했다"며 "한국정치고 폭넓게 재정렬 됐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다. 우리 정치지형이 진보와 보수가 팽팽하니까 늘 대선마다 치열하고 승복도 하지 않는 것이고 우리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 전 총리는 이 대표에게 '개헌 정치개혁'에 대한 입장도 분명히 할 것을 주문했다고 전했다. 김 전 총리는 "계속 요구를 하자 이 대표도 '나도 생각은 왜 없겠나. 그러나 아직 탄핵에 집중해야할 때 아닌가'라고 했다"며 "내란종식이 목표라고 하지만 국민들은 내전상태까지 가있는 셈인데, 이것까지 종결되려면 다음 대한민국의 모습은 합의가 중요하다. 그 하나는 개헌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야가 끊임없이 편을 갈라 싸우는 이유는 선거제도 등 정치제도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 대표 나름대로 정치적 스케줄이 있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 기다려보겠다"며 "안 기다리는 어떡하겠나. 강제할 방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다른 야권잠룡으로 꼽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개헌론'에 대해 입을 열었다. 전날 김 지사는 JTBC '오대영 라이브'에 출연해 오는 28일 예고된 이 대표와의 회동에서 개헌합의에 대한 약속 이행을 강력하게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3년 전 당시 이재명 후보와 연대하면서 5가지 항에 대해 서로 의견을 같이하고 서명까지 했다. 그 첫 번째가 권력구조 개편을 포함한 개헌"이라며 "당시는 지방선거와 맞추기 위해 1년 임기 단축을 이야기했다. 다가오는 3년 뒤 총선과 대선을 함께 맞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약속 이행과 앞으로 할 것에 대해 분명히 이야기하려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