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대행 "재생에너지 및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확대"
|
탄녹위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향후 미래세대의 기본권 보장과 감축 정책의 일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장기(2031~2049년) 비전 마련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 △기후위기 적응 전략 수립 등을 통해 국가 중장기 비전을 제시하기로 논의했다.
특히 이를 위해 △과학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후테크 산업 활성화 △녹색금융 지원 강화 △글로벌 규제 대응 등도 지속적 혁신 및 성과 가시화를 위한 핵심 정책과제로 선정·추진키로 했다. 중앙-지역 협업체계 강화, 이해관계자 소통 채널 확대, 국민 공감대 확산, 글로벌 협력 등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국제적 책임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파리협정의 진전의 원칙'에 따라 도전적이고 실현가능한 감축목표를 설정한다는 기본방향 하에 2035 NDC를 수립하기로 했다. 향후 정부는 정부안이 마련되면, 산업계·시민사회·노동계·미래세대 등 각계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및 사회적 공론화 과정을 거친 뒤 탄녹위 심의를 통해 최종안을 확정하여 9월 중에는 UN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민생 부담과 안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범정부 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2026~2030)에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기후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폭염·홍수 등 대응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취약계층 실태조사를 도입해 취약계층 유형·우선순위에 따라 지원책을 개선·발굴하는 방안 등도 포함된다.
최상목 대통령 직무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는 탄녹위와 함께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는데 비상한 각오로 임하겠다"며 "특히, 재생에너지,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확대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 동시에 탄소 경쟁력도 강화하는 한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장기 목표와 전략을 확립하고, 기후기술 육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제2기 위원회는 무탄소에너지(CFE), 수소,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관련 전문가를 영입해 전문성을 제고하고, 여성·청년 위원 비중 확대와 노동계(2명)·농민 등 다양한 계층 대표를 신규 위촉해 각계 대표성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