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수도 공과금 등 판촉비·보험금 명목으로 지원"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후 종로구 창신동의 봉제 업체인 케이대명을 찾아 현장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이 700만 명 넘는 것으로 아는데, 1인당 100만 원 상당의 바우처 형식으로 전기·가스·수도 등 공과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정부 측과 협의 중"이라며 "시설이 노후화돼서 교체하는 경우에 그 장비 구입 비용을 포함해서 지원하는 방안도 저희가 적극 고려 중"이라고 강조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나라에 있는 돈을 아무렇게나 25만 원씩 뿌려서 여유 있는 사람한테도 돌아가는 게 아니라 혈세가 낭비되지 않고 어려운 분들께 직접적으로 도움 될 수 있도록 현장 목소리를 잘 듣고 (정책을) 제대로 만들어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추친하는 13조 원 규모의 전 국민 25만 원 민생회복소비쿠폰에 맞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집중 지원을 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연 매출) 1억 400만 원 이하 소상공인들이 전국 760만 명 정도 되는 것 같다"며 "공과금에 판촉비·보험금을 포함해 1인당 100만 원씩 지원하는 게 맞지 않나 해서 협의 중"이라고 했다. 그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지만, 추경 방향이 잡히면 항목에 그걸 포함 시키라고 (정부에) 얘기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윤희숙 경제활력민생특위 위원장도 "진보를 표방하는 정치세력이 주4일제를 이야기하는 걸 보면서 깊은 비애를 느낀다"며 "일주일에 4일 일하고도 잘 잘수 있는 곳은 대기업 정규직과 공공부문"이라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내수가 안 좋을 때 가장 충격받는 곳이 영세사업장"이라며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영세사업장에서 대출받은 것에 대한 금융 조정, 이자 지원 등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숭인동에서 30년 동안 봉제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안중엽 씨는 "세금 문제 때문에 우리 봉제 공장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저희가 하청업체 세금을 도맡아서 내고 있다. 하청업체를 단위 대상자로 해서 일부를 좀 감면해 주시면 저희한테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