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단가 인하로 가닥 잡힌 건설·레미콘업계…빅3 부담분 추이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4010012546

글자크기

닫기

이수일 기자

승인 : 2025. 02. 24. 18:59

영우회 “700원 인하” 건자회 “3300원 인하”
건설업계 “단가 인하시 공사비 부담 줄 것”
1
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사진=연합
건설업계와 레미콘업계가 레미콘 단가 협상에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건설 경기 악화 여파로 인해 가격을 인하하는 방향으로 잡았지만, 양측은 인하폭을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나가는 모양새다. 레미콘업계는 인하폭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인 반면,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고 있는 만큼 레미콘업계가 협상을 통해 단가 인하폭을 최대한 높일 계획이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사 자재 구매 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와 수도권 레미콘 업체 모임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에서 제9차 레미콘 단가 조정 협상을 진행했다.

1차에선 레미콘 제조사 실무자로 구성된 영우회가 단가 동결을 제시했는데, 건자회가 수용하지 않았다. 이후 진척이 보이지 않자 휴식 시간을 가졌고, 휴식 후 2차에선 영우회가 수도권 기준 1㎥당 9만 3700원을 9만 3000원으로 700원을 낮추자고 제안했다. 반면 건자회는 수도권 기준 1㎥당 9만 400원으로 제안했다. 기존 제시안(9만 200원)보다 200원 올린 가격이다. 앞으로 양 측은 추후 협상을 통해 단가를 결정할 계획이다.

그동안 건설업계는 수도권 기준 1㎥당 레미콘 단가를 9만 3700원에서 9만 200원으로 3500원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레미콘업계는 1400원 인상을 주장해 왔다.
양 측의 공통 전략은 원자재비 비용 상승분을 '누구에게 부담을 더 지게 하느냐'다. 시멘트 생산 원가의 20~25%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한국자원서비스 기준)이 최근 5년간 40% 오른 데다, 인건비·물류비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해 9월말까지 레미콘에 쓴 매입액(734억원)은 철근(431억원)보다 300억원 더 쓴 최대 매입 품목이다. 대우건설도 레미콘 매입액(2864억원)이 철근(1739억원)을 상회한다. 특히 대우건설의 경우 레미콘 매입액은 주요 원재료 매입액 중 60% 이상을 차지한다. 현대건설은 레미콘을 건축자재로 묶어 관리하고 있지만, 단일 원재료의 경우 다른 업체들처럼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까진 레미콘업계가 건설업계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건설업계는 레미콘 단가 인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악의 경우 단가 인상으로 결정되더라도 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판단이다.

이는 시멘트 제조 원가의 30%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연내 인상할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결과다. 실제 전기료가 연내 오를 경우 시멘트업계가 단가 인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커, 건설업계로썬 추가 비용 가능성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레미콘을 만드는 데 필요한 주원재료가 시멘트인 만큼, 시멘트 가격이 오르면 레미콘 가격도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따라 중국 등 해외에서 시멘트를 수입해도, 당장 국내 시장을 뒤흔들 정도는 아니다.

건자회가 중국 시멘트 중개업체인 썬인더스트리를 통해 내년부터 연간 중국 시멘트 78만톤을 수입해 점차 늘려나가기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지만, 올해 내수 예상 출하량(4000만톤 이하)의 2% 수준에 불과하다. 시멘트 저장고, 물류기지 등을 별도로 건설해야 하고, 소비자들이 중국산 시멘트를 쓴 아파트를 우호적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도 따져봐야 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 다시 단가 인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면서도 "다만 현재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다. 레미콘 단가를 낮출 경우 공사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수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