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과 수사기관, 신속한 정보 공유 필요"
|
금융감독원은 24일 서울 영등포구 금감원 본사에서 보이스피싱에 대한 금융사의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사기관 및 금융권과 공동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9월 249억원에서 10월 453억원, 11월 614억원, 12월 610억원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카드배송을 사칭하는 신종 수법을 중심으로 고액 피해 사례가 지속되면서 금감원은 지난 14일 소비자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하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한 삼성증권, IBK기업은행, 고양시산림조합, 교남동새마을금고 등 금융사 영업점 직원들이 실제 경험사례를 발표했다.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그간 범정부 차원의 대응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피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고객과의 접점에서 대응하는 금융사 임직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며 "특히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수사기관과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홍완희 동부지방검찰청 정부합동수사단장은 "지난 2022년 합동수사단이 출범한 이래 여러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지난해 들어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금융권 현장에서 수상한 상황 포착 시 신속한 수사기관 신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찬수 경찰청 형사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선 금융권과 경찰 간에 신속한 정보 공유 등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범행 시나리오가 교묘해지는 만큼, 금융사에서는 경찰에서 제공하는 의심거래 정보를 활용해 예방조치를 적극적으로 수행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금감원은 금융사들이 타 금융사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영업점 대응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공유에 나설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에도 수사기관, 금융권과 긴밀히 공조해 신종 수법에 적극 대응하는 등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