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러-우 갈등 해결안 여전히 복잡·다층적"
|
카자흐스탄 일간 텡그리뉴스는 22일(현지시간) 러시아 정부가 동결된 자산의 상당 부분을 평화 협정의 일환으로 러시아 점령지를 중심으로 한 우크라이나 영토 재건에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내비쳤다고 로이터 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카자흐스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이후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서 '밀당 외교'를 펼치며 경제적 이득을 취했다.
카자흐스탄 매체들은 러-우 전쟁의 종전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경제적 낙수효과'에 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제정치전문가 자미르 카라자노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갈등 해결 방안은 여전히 복잡하고 다층적이라 빨리 해결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국과 러시아는 이미 협상에 착수했으며 당사국(우크라이나)을 제외한 채 무언가에 합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는 비외교적인 접근 방식"이라며 "중요한 세력의 한 축인 유럽도 이 과정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미국 등 서방국 지도자들이 우익화되면서 비교적 균형잡혔던 외교 질서가 점점 가혹하고 직설적으로 변하고 있다"면서 "유럽의 좌익조차 러-우 전쟁에 대해 강경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현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방아쇠를 당겼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카자흐스탄 정치학자 아자마트 바이길리예프는 "러시아와 미국 간의 관계 정상화는 카자흐스탄에 긍정적인 경제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 중 일부라도 해제되면 우리는 이전의 무역로를 회복할 수 있고 정치·경제적 중립을 표방하면서 재편성된 서방·러시아·중국과의 경제적 관계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서방국들은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약 3000억 달러를 동결했다. 우크라이나는 동결 자산을 전후 자국 영토 복구에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유럽연합(EU)은 동결 자산이 배상용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생길 경우 해외에 있는 모든 국가의 자산이 동결될 수 있다며 사실상 거절했다.
이후 주요 7개국(G7)이 우크라이나 지원금의 담보로 사용하자고 제안하는 등 여러 논의가 있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