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탄소·무탄소 발전 비중 역전
전력망 확충·시장 개편 병행
|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전력정책심의회를 열고 제11차 전기본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2년마다 수립되는 전기본은 이번 11차 계획에서 오는 2038년까지의 전력 수급 전망과 발전 설비 계획을 담았다.
정부는 AI·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성장과 데이터센터 확대 등으로 전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최대 전력 수요는 100GW 수준이지만, 2038년에는 약 30% 증가한 129.3GW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맞춰 발전 설비를 추가 확충할 계획이다.
정부는 신규 대형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대형 원전은 각각 2037년과 2038년에 도입되며 총 설비용량은 2.8GW 규모다. SMR은 2035~2036년경 처음으로 도입되며, 설비용량은 0.7GW다. 정부는 신규 원전이 목표 시기에 맞춰 운영될 수 있도록 한국수력원자력을 통해 부지 선정 절차를 추진한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고, 태양광 발전의 이격거리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단계에 있는 수소·암모니아 발전도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아울러 정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무탄소 발전 비중을 2038년까지 70.7%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2023년 기준 탄소 발전 비중이 60.9%, 무탄소 발전 비중이 39.1%였던 것이 2030년에는 각각 47.0%, 53.0%로 역전되고, 2038년에는 29.3%, 70.7%로 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무탄소전원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확충과 전력시장 개편이 수반돼야 한다"며 "무탄소전원을 수용하기 위한 전력망 적기건설과 보강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 전력공급도 적기에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무탄소용량시장 개설 등 무탄소에너지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한 전력시장 다원화 및 고도화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