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21일 한노총과 민노총 등 노동계를 찾아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한노총을 먼저 찾은 이 대표는 주52시간 예외 조항이 담긴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한 우클릭 논란에 대해 양해를 구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경제성장에 집중하는 것은 민주당 역대 정권이 해왔던 일이고 너무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복지확대와 분배강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목표를 제가 잊었겠는가. 그것은 궁극적인 목표다.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잘 성장하게 되면 진보적 가치를 전면에 내세울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이 대표는 "언론에서 '우클릭'이라고 하는데, 혹시라도 걱정된다면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지금 성장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은 우리 경제가 많이 망가졌기 때문"이라며 "성장만 하고 분배나 사회정의를 무시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이렇게 공격하는 것은 우리에 대한 상대방의 프레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도보수라고 하는데, 그럼 진보정책을 다 버렸겠나. 모두 섞여있고 복합적인 것이다. 최근 보수정권이라는 것이 보수라고 할 수 있나. 미안한 이야기지만 군사 쿠데타가 어떻게 보수일 수 있나"며 "보수질서와 가치를 지키는 일도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다. 노동조건 개선 문제는 우리 사회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후 민노총을 찾은 이 대표는 "박근혜 탄핵 때도 그랬고 이번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태에 대해서도 민노총이 가장 큰 역할을 훌륭히 잘 수행해내신 것 같다. 민주당이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한노총을 들렀다 오는 길이라 똑같은 이야기는 재미없을 것 같다"며 운을 떴다.
그러면서 "사용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노동시간을 늘리고 임금 떼먹고 수당 안주면서 이익을 내봐야 국제 경쟁이 되겠나. 억지로 일 시켜서 하는 시대는 갔다"며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시대가 오는데 피곤한데 잠 안 재우면 효율성이 생기겠나. 산업전환에 맞춰 우리는 적응해야 하며 노동에 대한 생각들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또 "노동자라고 하는 관념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엔 같은 시간에 같은 사람이 빨리 같은 일을 해내는 것이 중요했다면 요즘은 각자 집에서 시간과 하는 일이 다르다"며 "노동하면 빨갱이가 생각나던 시절이 있었다. 노동이라는 단어에 대한 인식도 바꿔야 한다. 근로자의 날도 노동절로 바꿔야 하는데 참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은 "어려운 시기에 유일한 방패인 노조를 공격한 윤석열은 죄값을 마땅히 치러야 한다. 친일을 청산하지 못했던 역사가 사대주의 극우세력을 잉태했고 군사독재를 청산못한 역사가 계엄을 맞이하게 했다"며 "민주당이 정권교체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광장으로서의 권력교체에 앞장서는 등 우리사회는 달라져야 한다. 앞으로 노동자의 삶도 새로운 잣대로 바라봐야 한다"고 전했다.
김동명 한노총 위원장은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데 민주당과 한노총은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 k면 결정이 나오는 대로 구체적인 고민을 확인하는 자리를 다시 한 번 가질 것을 제안드린다"며 "대한민국의 봄은 그리 멀지 않았다. 당은 당의 역할을, 노총은 노총의 역할로 진심을 다하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