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사람은 21일 서울 여의도 모 식당에서 오찬 회동을 하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대응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두 사람은 지난 총선 경선 이후 처음 만났다. 당시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이 이 대표에 밀려 대거 탈락하면서 '비명횡사'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 대표는 "힘든 상황인데도 함께 해 줘서 고맙다"며 "당 일을 하다보니 내 손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아 저도 힘들다. 박 의원의 가슴 아픈 것을 안다"며 보듬었다.
박 전 의원은 "총선 과정에서 일들이 내겐 모진 기억이지만 이렇게 웃는 얼굴로 맞이할 수 있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이 대표는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은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는 것이다. 그 속에 박 의원 역할이 있을 것이고 더 큰 역할을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전 의원은 "내란추종 세력의 기득권 저하에 힘을 합쳐야 한다. 대의명분 앞에 사사로운 개인감정이 자리해선 안 된다고 본다. 민주당이 국민 요구에 복무하는 대의명분 앞에 다 털고 미래를 향해 승리를 만들어내자"고 밝혔다.
식사를 마치고 나온 박 전 의원은 '경선 룰' 관련 질의에 "선거관련 구체적 이야기를 드릴 것은 아닌 것 같다"며 "오늘은 최대한 당내 이견이나 비명으로 불리는 사람들의 목소리 의견 최대한 듣고 당을 통합해나가는데 역할을 할 것(등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대표의 '중도보수' 발언에 대해선 "이 대표가 이야기하는 것은 탄핵과 조기대선 국면에서 정치적 포지셔닝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진보라면 가장 진보의 포지션을 양보할 수 없지만 논쟁과 토론의 사안이 아니다"고 흐렸다.
개헌에 대해선 "당내 통합에서 조기대선이 열리면 개헌을 통ㅇ해 국민통합 고리가 됐으면 좋겠다. 합의점은 정치권에 있는데 이견맺은 그룹들과 함께해 개헌 고리로 한 국민통합을 이뤘으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