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포스코에 따르면 회사는 한국산업보건학회와 함께 19일부터 21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60회 한국산업보건학회 2025 동계학술대회에서 '산업보건 AI 및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를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최근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등으로 근로자의 작업환경 개선과 건강증진에 기여한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서다.
포스코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 로봇 및 스마트 보호구 기술을 통해 근로자 작업환경 개선과 건강 증진에 기여한 사례를 발표했다. 특히 포스코에서 선보인 '4족 보행 로봇'은 고위험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 솔루션이다. 포스코는 4족 보행 로봇을 접근성이 제한된 설비를 진단·점검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제철소의 설비점검은 생산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으로, 4족 보행 로봇은 근로자가 수행하던 설비점검 업무에 투입돼 설비점검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면서 점검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스마트 보건기술이다.
이어 소개된 '청력 보호구 통합 솔루션'은 음압 및 주파수를 측정하는 IoT 소음측정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귀마개다. 상황별 소음제거, 근무자간 근거리·장거리 대화 기능 등이 적용돼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소음이 있는 작업장에서 소음노출은 최소화하고, 작업자간 대화가 가능하다. 포스코와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는 청력 보호구 통합 솔루션 개발을 마치고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는 기존의 스마트 팩토리를 넘어 사람, AI, 그리고 로봇간 협업을 통한 지능형 자율제조 프로세스인 '인텔리전트 팩토리'로 진화를 추진하고 있다. 제조업에 필요한 주문, 생산, 판매 마케팅 등 전체 프로세스를 관통하는 데이터 기반의 전체 최적화와 인간, 인공지능, 로봇 간 협업을 통해 지능형 자율 제조와 한 단계 높은 원가·품질·안전이 구현되는 공장을 만들겠단 의지다.
포스코는 특히 산업보건 분야에 있어 디지털 혁신기술의 개발과 적용을 선도해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구현하고, 근로자와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