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업 체감경기 4개월 연속 하락…건설경기 둔화·내수부진 영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1010011280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02. 21. 09:20

한국은행, 2월 기업경기 조사 결과 발표
코로나19 이후 최악…건설 등 비제조업 1.9p↓
빌딩숲
사진=연합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가장 나쁜 수준으로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기업경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p) 하락한 85.3을 기록했다. 작년 11월부터 넉 달 연속 하락세로 코로나19가 대유행 본격화한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다. 과거(2003년 1월∼2024년 12월) 평균(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CBSI(90.1)는 구성 5대 지수 가운데 생산(+0.6p)·업황(+0.4p)을 중심으로 1월보다 1.1p 올랐다. 반면 건설·서비스업 등 비제조업(81.7)은 업황(-1.1p)·자금 사정(-1.0p) 악화로 1.9p 하락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업종의 수출 개선으로 제조업 업황이 좋아졌지만 건설경기 둔화, 내수 부진 등으로 비제조업 업황이 나빠지면서 전산업 CBSI 1는 전월보다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3월 CBSI 전망치의 경우 전산업(88.0), 제조업(91.1), 비제조업(85.8)에서 이달 전망치보다 각 2.6p, 2.0p, 3.2p 모두 높아졌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까지 반영한 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90.2로 전월보다 3.5p 올랐다. 2019년 6월(+4.0p) 이후 5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폭이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88.4)도 0.9p 하락했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