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활성화 대책, 시장 확대 위한 첫 발"
"K-Food와 페어링할 수 있는 제품 홍보할 것"
美 관세 확대 관련 "국익 최대 원칙으로 대응"
|
송 장관은 이날 오전 충북 청주에서 농식품부 출입기자단과 정례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농식품부는 주요 정책 및 현안에 대한 이해도 제고 차원에서 기자단과 매월 정례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송 장관은 "일본 사케의 경우 1년 쌀 소비량이 30만t에 달하는 반면 우리 쌀은 전통주에 5600t 들어간다"며 "농식품부 1차적 목표는 최소 5년 내에 (전통주를 만드는데) 쌀이 3만t정도 쓰일 수 있도록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 12일 소규모 주류제조면허 주종 및 주세 감면 혜택 확대 등을 담은 '전통주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전통주를 농업 분야 신(新)부가가치 품목으로 키우는 동시에 원료로 쓰이는 쌀 소비를 늘려 구조적 공급과잉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농식품부는 기존 발효주에만 허용됐던 소규모 주류제조면허를 증류식 소주, 브랜디, 위스키 등 주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소규모 전통주 제조업체에 대한 50% 주세 감면 혜택도 연간 생산량 500㎘ 이하에서 1000㎘로 범위를 확장한다.
동시에 원료조달 규제도 완화한다. 기존 전통주를 제조하는 경우 상위 3개 원료를 100% 지역 농산물을 사용해야 했는데 앞으로는 제품 중량 대비 일정 비율 이상만 사용하면 된다.
송 장관은 "전통주 제조 시 상위 3개 원료에 대한 지역 농산물 사용 비율을 95% 수준으로 낮췄다"며 "(조달) 지역 범위도 인접한 시·군 단위로 넓혔다"고 설명했다.
또한 "(활성화 대책을 통해) 전통주 관련 창업을 상당히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계획한 것을 토대로 추가적인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
그는 "프랑스 와인, 일본 사케와 달리 우리나라는 '케이-푸드(K-Food)'와 페어링되는 술이 없다"며 "재외공관과 협의해 우리 전통주 카달로그를 만들고 대형마트나 팝업 스토어 (입점) 등 K-Food 수출 지원에 전통주 분야를 얹어 같이 진행하면 어떨까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결국 소비가 늘어야 정책적 효과가 있는 만큼 현재 첫 발을 뗀 것"이라며 "우선 발표한 활성화 대책을 1단계로 차츰 전통주 시장이 커질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을) 확장해보자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송 장관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주요 교역국 대상 관세 확대 조치와 관련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그는 "농업 분야에서 (미국이) 무엇을 얼마만큼 어떻게 할 지 구체적인 내용이 아직 없다"며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이 팀장을 맡은 TF가 구성돼 있고 해외 주재관 등을 통해 (현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농업에 미칠)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대응하겠다는 것이 대원칙"이라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하되 우리 국익이 최대화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송 장관은 같은 날 청주 소재 '조은술세종'에서 양조시설을 둘러본 뒤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 관계자 의견도 들었다. 해당 업체는 지난해 우수 전통주로 선정돼 대통령 표창을 받은 '이도42'를 제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