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일 바이오 협력 강화…오영주 “한·일 공동펀드 조성 등 지원 이끼지 않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0010010535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2. 20. 16:00

중기부, '제2회 한·일 바이오 에코시스템 라운드테이블' 개최
1
오영주 중기부 장관이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2회 한·일 바이오 에코시스템 라운드테이블'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일본 도쿄에서 '제2회 한·일 바이오 에코시스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지난 1월 15일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의 후속 조치로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 선도 기업들이 참여했다.

우리 측에서는 지난달 유럽의약품청으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 박현숙 세포바이오 대표, 김영호 엣진 대표 등 중기부의 지원을 받아 성장한 6개 바이오벤처 대표와 일본 측에서는 후지모토 쇼난 아이파크 대표, 일본의 글로벌 빅파마인 다케다약품공업, 아스텔라스제약, 스미토모제약, 미쓰비시타나베제약의 연구개발과 오픈이노베이션을 담당하는 임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작년 5월 10일 열린 '제1회 한·일 바이오 에코시스템 라운드테이블' 이후 해외 실증을 위한 8개 바이오벤처의 쇼난아이파크에 입주해 바이오재팬 내 통합 홍보관(K-Startup@Bio) 구축,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세계 정상급 벤처캐피털(VC) 대상 한일 바이오벤처 공동 기업설명회(IR), 쇼난아이파크에서 있었던 58개 국내 바이오벤처와 21개 일본 제약사 간 협업방안 모색을 위해 개최된 '케이(K) 바이오벤처 파트너링 콘퍼런스' 등을 공유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신약개발은 많은 실험과 검증이 필요한 긴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실패 가능성도 커서 신약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분업과 협업이 중요하다"며 "특히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종양미세환경 등 첨단 분야의 협력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분업에 입각한 공동기술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그 자체로 국경을 초월하는 글로벌 산업으로 미래지향적인 첨단산업인 바이오 분야의 긴밀한 협력은 양국 미래세대를 위한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며 "한일 양국이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협력을 다변화하고 그 깊이를 더하는 기업 간 교류협력, 공동연구개발, 공동펀드 조성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 장관은 이날 오전 일본 최대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게이코 오이시 씨믹 회장을 만나 우리나라 바이오벤처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씨믹의 선진화된 임상시험 역량을 결합한 파트너십 구축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씨믹 간 바이오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서명식에 임석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