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서울대인’이 주최한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17일 서울대학교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열렸다. 이날 열린 탄핵반대 시국선언에서 소속회원들과 보수단체 회원 등 400여명이 태극기와 '불법 탄핵 무효' '부정선거 수사' 등의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상선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집회와 시국선언이 전국 대도시 광장에 이어 대학가로 번지고 있다. 지난 10일 연세대를 필두로 17일 서울대, 18일 경북대와 대구·경북 대학생연합 등으로 탄핵반대 시국선언이 확산되고 있다. 고려대, 한양대, 경희대 등에서도 일부 학생들이 탄핵반대 시국선언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최근 광화문, 광주 금남로, 동대구역, 부산역 등 전국 대도시 광장을 뜨겁게 달군 윤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의 두드러진 특징은 20·30 젊은 세대의 참여 확대다. 비슷한 맥락에서 대학가에 확산되는 시국선언도 젊은층의 확 달라진 정치성향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향후 탄핵정국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서울대생과 시민 등 400여 명은 17일 서울대 중앙도서관 앞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탄핵반대 시국선언과 집회를 가졌다. 이날 시국선언문에는 서울대 재학생 81명, 졸업생 459명 등 540명이 서명했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불법탄핵 각하하라" "국회 해산하라" "부정선거 검증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시국선언에 참여한 서울대 교육학과 재학생 김민섭씨는 "윤석열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를 훼손한 것이 아니라 무너져가는 법치주의와 삼권분립을 지키기 위해 계엄선포라는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대 사범대 대학원생인 민소연씨는 "헌법 77조 1항은 대통령이 국가비상사태일 때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며 "국회의원을 체포하거나 끌어내려는 움직임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재학생 이서진씨는 "비상계엄의 표적은 국회가 아니라 선관위"라며 "선관위는 서버를 공개해 부정선거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서울대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서울대공동행동 소속 약 70명(주최 측 추산)이 맞불집회를 벌였다. 경찰이 두 집회 사이에 인간벽을 세우고 폴리스라인을 쳤지만, 고성이 오가고 일부 충돌이 빚어질 정도로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흘렀다. 지난 15일 같은 장소에서 벌어진 탄핵 찬반 집회에서도 서로 몸을 밀치거나 멱살을 잡는 등 물리적 충돌을 겪었다. 이날 우파성향 기독교단체인 트루스 포럼과 일부 서울대 재학생이 먼저 탄핵반대 집회를 예고했지만, 서울대공동행동이 같은 장소에서 1시간 먼저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과 집회를 열면서 충돌이 빚어졌다.
'지성의 전당'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그동안 대학은 좌파적 성향을 가진 일부 사람들이 헤게모니를 장악해 온 게 사실이다. 탄핵반대를 주장하기 위해 모인 서울대 학생들은 "대학사회가 특정 정치적 입장만을 대변하며 다양한 의견을 배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확산되는 탄핵반대 시국선언을 계기로 대학사회의 민주주의도 한 단계 성숙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