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39% 한화그룹, 서울시와 협의
일각선 토허제 해재 목소리 내기도
|
6일 서울시·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한화 건설부문 측은 서울시와 잠실 마이스 조성사업 사업비 등과 관련해 협의를 진행 중이다. 기존 총사업비는 최종 확정액이 아닌 만큼 협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업계 일각에선 협의를 통해 총사업비가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간이 사업비 전액을 부담하고 40년간 운영을 통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수익형민자사업(BTO) 방식으로 진행되는 만큼, 실제 총사업비가 늘어날 경우 우선협상대상자인 (가칭)서울 스마트 마이스파크(주간사 (주)한화)가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큰 틀에서 보면 해당 프로젝트는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시가 지난해 7월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 세부개발계획을 결정한 데 이어, 최근엔 기획재정부와 함께 2019년 말부터 협의해 온 잠실운동장 내 부지교환을 마무리하며 8부 능선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그동안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선 잠실운동장 부지 중 기재부 소유 부지가 59.35%(8만627㎡)를 서울시에서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시는 기재부와 협의를 거쳐 실시협약을 체결(2025년)하고, 착공·준공 목표시기는 각각 2026년, 2032년이다.
토지거래허가제도(토허제) 등 일부 사안에 대해선 결론을 내려야 하는 부분이 있다. 일각에선 토허가에 대해선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성배 서울시의회 의원은 "토허제가 해제된다고 해도 바로 집값이 급격하게 변동되지 않는다. 실거주가 많은 잠실의 경우 토허제가 해제될 경우 거주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서울시에서도 관심이 있는 만큼, 토허제 해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해 8월 제도개선을 위한 용역을 발주해 현재 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진행 중이다. 조만간 용역 결과가 나올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데, 일부 지역에 한해 해제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거래량이 감소하고 전문가들이 부동산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국지적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조치는 유지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도 순조롭다. 다만 주변 환경을 고려해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인데, 그중 하나가 토사 및 폐유 유출 관리다. 잠실 마이스 조성사업의 경우 연초 마무리한 조건부협의 기준으로 비가 내릴 경우 1일 토사유출량이 218톤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한화 컨소시엄은 잠실 마이스 복합공간에 지어지는 잠실 야구장, 컨벤션 시설과 다목적 스포츠시설 등의 디자인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완성하겠다"고 말했다.